219 0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를 위한 플로우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를 위한 플로우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low Factors for Personalization of Smartphone GUI Design
Author
조철수
Alternative Author(s)
Cho, Cheol Soo
Advisor(s)
김헌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요지 스마트폰은 정보의 효율성과 생산성이 강조되는 정보화 사회의 중심에 있다. 정보사회에서 스마트폰은 사용자들에게 단순히 전화 통화를 하는 기기가 아니라 정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확장시켜주는 가장 사적인 정보통신기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를 정보의 최종 수용자이자 생산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들을 소극적 정보 수용자형태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자 형태로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능과 목적을 수행하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 개인적인 측면에서 정보 생산과 정보 활용을 위한 최고의 도구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융복합성 그리고 휴대의 간편성 등과 같은 강점을 지니고 개인들의 삶과 생활 속에 깊숙이 침투하면서 정보화시대의 대표적인 개인적 소유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정보 생산과 활용은 이제 제품 생산자와 서비스 제공자 중심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보다 진일보하여 사용자들이 주도적이고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새롭게 가공하고 설계하여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추는 것과 같은 개인적 요구를 스스로 충족시켜 줄 수 있는 GUI 개인화에 대한 문제를 사용자의 심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고자한다.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GUI 디자인을 개인화하여 상호작용할 때 갖게 되는 심리적 최적 경험(Optimal Experience)의 형성과 심리적 영향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한다. 연구의 절차는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 1장 서론은 연구문제와 목적으로 스마트폰 GUI 개인화가 사용자 심리중심에서 연구되어야하는 당위성을 통해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제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의 토대가 되는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와 플로우의 개념을 정의하고 플로우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마트폰 GUI 개인화의 구체적 요인이 필요함으로 사용자가 지각하는 GUI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병행하여 심층 설문조사를 하였다. 190명의 사용자들로부터 심층 설문한 결과 사용자가 지각하는 항목을으로 홈잠금화면, 홈화면, 홈메뉴바, 상태바, 위젯, 앱메뉴화면, 전화번호부관리, 아이콘, 상호작용방식 9개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9개의 항목은 사용자들에게 지각된 요소를 친화도법Affinity Diagram으로 분류하였다. 정의된 항목은 문헌적 근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각된 요소를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분류와 차별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플로우에 대한 기존연구의 고찰과 2장의 결과물을 토대로 구체적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제시하고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측정 문항을 GUI 디자인 개인화 56문항, 플로우 33문항 제작하고 10대∼50대 개인화 사용경험이 있는 남자 280명과 여자 212명을 대상으로 On-Line과 Off-Line Survey를 실시하여 모형 검정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제 4장은 연구의 결과로 3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각 문항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신뢰도 검사를 하였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을 검정하고 경로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모형을 분석하기위해 사용자가 지각하는 GUI 디자인 개인화 9개의 항목을 관측변인(Observed variable)으로 설정하고 내생잠재변수(Unobserved endogenous variable) GUI 개인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지각정도의 순서는 홈화면(4.94), 아이콘(4.93), 앱메뉴(4.84), 위젯(4.78), 상호작용성(4.75), 전화번호부(4.72), 홈잠금화면(4.69), 홈메뉴바(4.62), 상태바(4.49)로 나타났으며, 모델에 투여하기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상호작용성은 헤이우드 문제로 삭제하고 8개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홈메뉴바(.80)가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음으로 아이콘(.78), 전화번호부(.78), 앱메뉴화면(.75), 홈잠금화면(.73), 상태바(.72), 홈화면(.69), 위젯(.62)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시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외생변수인 플로우에 관한 관측변수 시간의 왜곡, 주의집중, 즐거움 등 3개의 개념 가운데 즐거움(.91)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숙련도와 도전감의 경로를 살펴보면 숙련도의 경로인 “GUI 개인화-> 숙련도-> 통제감-> 플로우” 경로가 유의 하지 못한 결과가 나왔으며, 이때 숙련도에 영향을 받은 통제감이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전감의 경로인 “GUI 개인화-> 도전감-> 각성-> 플로우”의 경로가 유의 한 것으로을 분석되었다. 결과 도전감의 경로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플로우는 숙련도와 도전감의 균형적 발달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도전감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GUI 개인화는 사용자들에게 플로우를 경험하도록 직접적인 경로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심리적 매개변인으로 숙련도, 도전감, 각성, 원격제어감을 통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로의 가장 강력한 심리적 변인은 통제감과 각성일 것으로 예측하였지만 통제감은 매개변인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제시된 이론적 모형의 분석결과 GUI 개인화의 최적경험을 강력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플로우 개념은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를 예측하고, GUI 개인화에 대한 최적 경험을 설명하는 유용한 심리적 매개변인이라는 점이다. 즉, 본 연구에서 플로우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이 추구하는 환경과 GUI 개인화를 통한 상호작용에서 획득된 심리적 최적감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보다 역동적인 과정을 설명해줄 수 있다.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에서 내적동기화가 일어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 개념의 조합에 의해 설명되어야하는 요소였다. 그것은 숙련도와 도전감으로 향후,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에 대한 연구의 방향은 사용자들에게 일반화 될 수 있는 학습의 시간이 필요하며 적절한 스킬을 유지하여 도전감과 각성을 자극하는 형태의 진행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GUI 개인화요소의 변경적용을 통해 사용자의 최적경험 정도를 변화, 조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네 가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사용자들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 요인을 제시하였고 둘째, GUI 개인화 요인을 내생변수로 설정하고 플로우(시간의 왜곡, 주의집중, 즐거움)의 외생변수와 매개변인으로 도전감, 각성, 숙련도, 통제감, 관여도, 사용경험 등의 경로 영향계수를 검정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제시된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들의 영향 관계를 측정함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GUI 개인화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에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심리적 근거를 제시했다. 넷째, 기존 인터페이스의 연구 접근 방법과 차별화된 사용자의 내적동기 형성과정에 접근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의 의의는 스마트폰 GUI 디자인 개인화를 위해서 플로우 개념에 보다 주목해야 할 것을 제안하는데 있다. 핵심어: 스마트폰 GUI, 개인화, 플로우, 내적동기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36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3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