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 0

감시체계 자료를 이용한 한국의 직업성 천식 추정 발생률

Title
감시체계 자료를 이용한 한국의 직업성 천식 추정 발생률
Other Titles
Estimated incidence rate of work-related asthma by the surveillance sysem in Korea
Author
권순찬
Advisor(s)
송재철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연구 목적 : 직업성 천식 감시체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작업관련성 천식의 발생률을 추정하고 역학적 특성을 고찰한다. 대상 및 방법 : 직업성 천식 감시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알레르기 및 호흡기내과 외래, 직업환경의학과 외래, 지역 감시체계, 산재보상 자료 등 네 개의 보고원을 통하여 작업관련성 천식의 환례를 수집하였다. 각각의 환례들에 대해 성별, 나이, 사업장 소재지, 작업내용, 추정원인 물질, 노출기간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006년도 사업체 노동실태현황 보고서에 근거한 고용 인구를 바탕으로 산업별, 직업별, 성별, 지역별 발생률을 산출하였고 의사보고와 산재보상 자료에 의한 포집재포집 방법을 통해 추정 환례수와 추정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작업관련성 천식의 원인물질의 분포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총 338건의 작업관련성 천식 환례가 보고되었다. 보고원별로는 알레르기 및 호흡기내과 외래가 37.6%(n=127), 직업환경의학과 외래가 15.4%(n=52), 지역 감시체계가 16.9%(n=57), 산재보상 자료가 30.2%(n=102)를 보고하였다. 중복된 환례를 제외한 실 환례는 239건이었다. 우리나라의 작업관련성 천식의 발생률은 백만 명 당 연 3.31명이었으며 남자는 3.78명, 여자는 2.58명이었다. 연령별로는 50-59세가 7.74명,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8.50명, 산업별로는 가구 및 기타 제조업이 67.62명, 직업별로는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가 17.75명으로 가장 높았다. 직업성 천식의 원인물질 또는 작업악화성 천식의 촉발인자는 이소시아네이트류 46.4%, 곡물 분진 8.8%, 금속류 5.9%, 반응성 염료 5,0%, 유기용제 4.2% 등의 순이었다. 포집재포집 방법을 통해 추정된 환례 수는 447건이었으며 추정 발생률은 백만 명 당 연 6.28명이었다. 결론 : 우리나라의 작업관련성 천식의 산업별, 직업별,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로 발생률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작업관련성 천식의 발생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직업성 천시 감시체계는 산재자료를 보완한 우리나라의 작업관련성 천식의 규모와 원인을 파악한 유용한 자료원임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보고원의 확대와 재정적인 확충 등을 통해 발전적인 방향으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단어 : 직업성 천식, 발생률, 산업, 직업, 감시체계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59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998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