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2 0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예측모형

Title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예측모형
Other Titles
Prediction Model for the Successful Aging of Middle aged Women
Author
조진희
Alternative Author(s)
Cho Jin Hui
Advisor(s)
김분한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Rowe와 Kahn(1997)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기초로, 모든 세대는 전체 생애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성공적 노화의 영향 변수가 중년여성을 통하여 성공적 노화의 예측모형에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영향 변수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 이행 및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용인, 수원, 화성, 평택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296명을 편의 추출하여 구성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SPSS Korea Data Solution, Seoul, Korea)과 AMOS 19.0(SPSS Amos Korea Data Solution,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의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수집된 자료의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한 결과 χ² 1564.954, AGFI 0.773, TLI 0.833, CFI 0.844, RMR 0.071, RMSEA 0.057로 GFI 0.798 으로 나타나 가설적 모형과 경험적 자료가 낮은 적합도를 보였으므로 모형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정모형의 적합지수를 살펴보면, χ² 1085.624, AGFI 0.829, TLI 0.926, CFI 0.934, RMR 0.066, RMSEA 0.038로 GFI 0.855로 확인되어 경험적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정모형이 가설적 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개선되어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2. 가설 검정 결과 19개의 가설 중 10개의 가설이 지지되었고 9개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내생변수별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 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는 사회활동(총효과=.357, p=.001), 대인관계(총효과=.151, p=.020), 신체적 건강(총효과=-.128, p=.035)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즉, 사회활동, 대인관계, 신체적 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변수들이 자기 효능감을 16.7% 설명하였다. 2) 자기 성취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는 사회활동(총효과=.219, p=.004), 신체적 건강(총효과=-.167, p=.018), 대인관계(총효과=.146, p=.041)가 의미 있는 영향을 나타냈다. 즉, 사회활동, 신체적 건강, 대인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 성취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 변수들이 자기 성취감을 16.7% 설명하였다. 3) 노화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는 대인관계(총효과=-.429,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노화불안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변수들은 노화불안을 19.9% 설명하였다. 4) 성공적 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는 대인관계(총효과=.536, p=.001), 사회활동(총효과=.573, p=.012)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신체적 건강은 직접효과(ɣ=-.189, p=.020)는 유의 하였으나 간접효과가 유의 하지 않아 총효과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 안정은 직접효과,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아 총효과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인관계는 직접효과(ɣ=.390, p=.001)와 간접효과(β=.146, p=.010)가 추가되어 총효과=.536(p=.001)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은 직접효과(ɣ=.380, p=.001)와 간접효과(β=.193, p=.012)가 추가되어 총효과=.573(p=.012)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 사회활동 수준이 높을 때 성공적 노화를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생변수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보면 자기 효능감(총효과=.392, p=.001), 자기 성취감(총효과=.169, p=.045)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자기 효능감과 자기 성취감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변수들이 성공적 노화를 85.5%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모형은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성공적 노화의 최종 결과변수로 검정된 사회활동, 대인관계, 노화불안, 자기 효능감, 자기 성취감 변수들은 간호중재 전략의 우선순위를 부여해 주었다. 이로써 이들 요인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적절한 간호활동과 그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주요어: 중년여성, 성공적 노화, 사회활동, 대인관계, 자기 효능감, 자기성취감, 노화불안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59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8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