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 0

무용 작품과 댄스 필름의 관계적 특성연구 : 마야 데렌과 로이드 뉴슨을 중심으로

Title
무용 작품과 댄스 필름의 관계적 특성연구 : 마야 데렌과 로이드 뉴슨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 and Dance Film: Emphasis on ‘Maya Deren’ and ‘Lloyd Newson’
Author
한선비
Alternative Author(s)
HAN, SUNBEE
Advisor(s)
손각중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 요지 현대 사회의 급속한 뉴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멀티미디어의 기능은 전례 없는 대홍수로 일상생활을 넘어서 예술 분야에게도 미래를 구상하고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능하게 하였다. 1890년 후반 필름의 등장과 함께 영화제작자들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담기위한 시도를 진행하였으며 무용가와 안무가들 사이에는 무대라는 공간의 제약과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필름이라는 매체를 사용하여 공간과 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차원적이고 신체적 움직임을 더 효과적으로 다각도의 상상력과 타 매체와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창작을 시도하였다. 무용예술은 필름 화되어 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1차원적 공연을 담은 기록물, 영상을 위한 무용,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형태의 필름에서 근대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 이후에는 많은 작가들의 실험적인 예술작업을 통하여 무용과 댄스 필름의 공동 작업은 더욱 활성화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댄스 필름의 개념정리 및 발전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무용 작품과 댄스 필름의 관계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과정으로 댄스 필름의 특수성을 살펴보고 마야 데렌의 ⌜카메라를 위한 안무 연구⌟와 로이드 뉴슨의 ⌜The Cost of Living⌟ 위의 두 작품을 각 각 선택하여 작품의 영상 안무 표현을 분석하였으며 무용 작품과 댄스 필름의 관계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채로운 공간을 작품 안에 제공할 수 있었으며 배경의 전환이 자유로워졌다. 마야 데렌의 ⌜카메라를 위한 안무⌟에서 무용수의 밸런스가 진행되는 동안 공간배경은 숲에서 빈 거실로 전환이 되어 진다. 이는 장면 전환에 있어서 순간 이동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하였으며 동작의 연속성과 상관없이 공간배경은 안무자의 상상력과 선택에 의해 영상에 표현되어진다. 둘째, 댄스 필름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물은 대상물의 크기나 거리감을 달리하여 주의 집중을 가능하게 하였고 렌즈의 초점을 조절하여 안무자가 중요시 하고자하는 대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영상만이 갖고 있는 특징 중 하나로서 작품에서의 긴장감, 절정부분을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셋째, 무용 작품에서의 신체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다. 무대 위에서 점프를 하게 되면 위로 상승하다가도 인간은 중력의 지배를 받으며 어느 지점에서 밑으로 착지하게 된다. 하지만 필름에서는 편집이라는 과정과 무대 세트 기술의 발달로 불가능한 인간 신체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넷째, 댄스 필름을 창작하는 데에 있어서 분리되었던 연출 분야 또한 1990년대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안무자들의 댄스 필름 연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댄스 필름의 등장은 VTR의 보급화와 인터넷의 증가로 댄스필름작품을 쉽게 감상할 수 있으며 이는 안무가, 무용수와 관객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극장을 벗어난 제 3의 공간에서의 만남으로서 무용인구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좋은 계기로 사료 된다. 마야 데렌은 1945년 카메라가 도입 된지 역사적으로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예술을 위한 실험적인 정신으로 무용수와 카메라를 통한 영상 안무를 시도함으로써 당시의 영화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오늘날의 댄스 필름의 시초를 마련해 주었으며 80년대부터 무용 작품을 댄스필름으로 제작하는 작업에 열중한 로이드 뉴슨은 2004년⌜The Cost of Living⌟을 댄스 필름으로 새롭게 안무 및 연출하여 일반인들을 대상으로도 무용 작품에서 받을 수 있는 감동을 선사하며 다양한 방면으로 성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현재의 무용예술은 무대공연에 있어서도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도입과 기술을 무대 위에 등장시키며 시각적인 환경의 질을 향상하고 영상을 이용하여 안무자가 의도하고자 하는 작품의 의도를 더욱 부각 시키고 있다. 영상매체가 우리 삶의 일부분인 오늘날 다양한 장르의 댄스 필름 작품들이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극장에서는 일반 대중들이 쉽게 3D 댄스필름을 관람할 수 있을 정도의 최첨단의 기술이 도입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댄스 필름에 있어서 무용 작품에서 움직임의 역동성과 본질적 의미를 강조하는 현장성이 미비하기 때문에 댄스 필름의 예술성과 무용작품의 미학적인 측면에서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무가들과 영화제작자들의 새로운 기술과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또한 연출가와 안무가의 역할이 일원화 되어 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카메라를 위한 안무가들의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댄스필름 작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무 표현 연구도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2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3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