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문경하-
dc.date.accessioned2020-03-09T02:04:41Z-
dc.date.available2020-03-09T02:04:41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901-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767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에 따른 연극의 양상과 특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현재의 연극성이 함의하는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연극언어의 표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포스트모던 연극의 기본적 바탕은 전통적 연극의 개념과 재현에 대한 도전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연극에서의 포스트모던 연극 역시 새로운 표현방식을 찾으려는 시도로부터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70년대에 전조를 보여 특히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가시화 되었다. 실제로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은 놀라운 변화를 겪어 왔다. 그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형식의 다양화' 일 것이다. 이는 '중심의 해체' 라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과 맞물려 퍼포먼스의 강화, 고전작품의 자기화, '재현' 보다는 '행위' 로의 중심 이동, 공간의 해방(탈 극장 공간) 등의 양상으로 두드러졌다. 포스트모더니즘이란 20세기 후반을 풍미했던 시대정신이자 사조이다. 하지만 이 같은 '경향' 이란 항시 가변적인 것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그 특성 또한 꾸준히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된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 은 '절대적' 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 인 것임을 밝힌다. 이때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은 '포스트'(post) 와 '모던'(modern)의 본질인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의 연관성에서 고찰한 것으로, 이를 연속과 단절의 절충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절충적 관점에서 바라본 포스트모더니즘의 일반적인 특징은 해체화, 혼성화, 대중화를 꼽을 수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해체' 를 바탕으로 통일성을 거부하고 다원성을 지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의 흐름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 에 초점을 두고, 이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과 연결시켜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양상은 크게 세 가지의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는 해체 연극의 양상이다. 이는 근대극적 개념에서의 탈피로 해체성, 우연성, 불연속성, 이질성 등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화 경향과 맞물려 탈구성화, 자기반영화, 언어의 파편화 등의 형태로 두드러졌다. 두 번째는 이미지 연극의 양상이다. 이미지 연극의 양상은 해체를 근거로 잠재의식적 충동과 비언어적인 연극적 고안들을 활용한 연극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는 크게 '오브제' 중심의 이미지 연극과 '움직임' 중심의 이미지 연극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호적, 다원적, 해체적, 메타적, 조형성, 즉흥성을 포함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혼성화의 경향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멀티미디어 연극의 양상이다. 멀티미디어 연극의 양상은 디지털 테크놀로지 및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상호결합과 혼종을 통한 연극 형태이다. 이는 직접성, 즉시성, 친밀성, 유동성, 가변성 등을 포함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혼성화·대중화의 경향과 맞물려 연극의 표현방식을 확장시켰으며, '미디어 설치 연극' 과 '인터렉티브 미디어 연극'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은 관객의 존재와 위치의 변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즉, 관객은 불확정성, 자기반영성, 모호성, 상호텍스트성, 다양성 등을 포함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화·대중화의 경향으로 기존의 고정적·관념적 관객(audience)에서 그 존재와 위치가 개방된 'public' 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이때의 관객은 공연의 형태에 따라 연극의 존재 자체를 만들어 내는 창조자가 되기도 하며 또는 감상자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처럼 비재현적 성향의 연극 양상들은 해가 거듭될수록 그 형태가 다양해졌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연극성의 개념이 암시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에 따른 한국연극의 다원화와 실험성에 대한 탐색 과정을 통해 다양해진 표현 방식과 소재를 알아보고, 나아가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밝히고자 했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특정 시대에 집중된 경향이 있었던 '한국연극과 포스트모더니즘' 에 대한 연구에 현대성을 반영한 것으로, 현재 연극의 흐름에 대해 고찰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1990년대 이후 한국연극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ost-modern tendency in Korean theater since the 1990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문경하-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oon, Kyung Ha-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연극영화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