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 0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검토

Title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검토
Other Titles
A Study of Space Collaboration for Complex Commercial Building in Heyri Art Village
Author
신지현
Alternative Author(s)
Shin Ji Hyun
Advisor(s)
신경주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는 19세기 말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개인의 개성, 자율성, 다양성을 중시하게 되었다. 개인 생활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그들의 니즈(needs)들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다. 즉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을 하여 공동의 목표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 콜래보레이션은 영어 단어이며 협력이라는 뜻이다. 협력은 다른 분야와 함께 진행하거나 같은 분야의 어느 무엇과도 진행할 수 있다. 상업 공간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간 콜래보레이션을 시도 하고 있다. 요즈음의 상업공간은 집에서와는 또 다른 편안함을 제공하여 집처럼 편안하면서도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느끼게 하여 호감을 이끌어 낸다. 이러한 공간들은 안주하지 않고 변해가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활력을 준다. 예로 카페는 언제, 어디서든 편안함을 느끼고 싶어 하는 21세기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 시켜주고 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공간들은 진화를 하여 그 공간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을 한다. 콜래보레이션의 선행연구는 디자인, 경영학 분야에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건축, 공간 분야에서는 콜래보레이션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었고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을 중심으로 콜래보레이션을 연구하였다. 콜래보레이션은 공간 콜래보레이션, 아트 콜래보레이션, 저가와 고가 콜래보레이션, 하이컨셉 콜래보레이션, 스타 콜래보레이션으로 분류 할 수 있고 그 중 공간 콜래보레이션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 콜래보레이션은 실내디자인 분야에 맞게 내용을 재정리 하였고 선행연구와 각종 문헌 등을 통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공간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파주의 헤이리 예술마을로 지역을 한정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02채의 건물 중 상업을 목적으로 하며 갤러리, 아트샵, 카페를 모두 운영하는 복합상업건물 10채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분석대상은 공간 콜래보레이션에 대해 정리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갤러리, 아트샵, 카페의 각 공간마다 공간 콜래보레이션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점수의 총 평균을 내어 분석대상을 비교하여 헤이리 예술마을의 복합상업건물을 평가하였다. 10곳의 분석대상 중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친 공간은 카페와 아트샵이다. 카페는 오감의 체험을 가장 많이 할 수 있었으므로 공간의 호감도가 가장 높아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아트샵은 편안함을 주기에 부족하여 공간 콜래보레이션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아트샵은 복합상업건물 안에서 공간의 역할이 충분치 못하였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지 못했다. 10곳의 분석대상들은 2곳을 제외하고 모두 일반적인 경험으로 공간을 운영하고 있었다. 2곳은 체험교실을 운영하여 다양한 경험으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나 다양한 경험만으론 공간 콜래보레이션의 점수를 높이기에 부족하였다. 즉,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은 공간의 편안함, 다양한 경험, 내구적인 실내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는 공간 목적에 맞는 정확한 조닝과 분할, 연결, 구성 등을 통해 가구, 조명, 색채도 각 공간에 걸 맞는 실내구성이 될 것이다. 목적에 맞는 실내구성은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을 유도 한다. 또한 다양한 경험은 상업공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내구적인 실내구성과 더불어 다양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복합상업건물에 현대인들의 발길을 끌게 하는 공간으로 거듭 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8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0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실내환경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