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6 0

서울시치매관리사업 등록 치매노인의 지원서비스 이용 실태

Title
서울시치매관리사업 등록 치매노인의 지원서비스 이용 실태
Other Titles
Utilization of Support Services by Dementia Elderly Registered on the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SDMP)
Author
장세명
Alternative Author(s)
Jang, Se Myeong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등록된 치매환자의 중증도별 동반질환과 건강습관력 및 치매지원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봄으로서 치매환자와 가족의 특성별, 진행단계별 필요한 서비스 개발 및 치매관리사업을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광역단위의 지역사회 중심으로 수행된 치매관리사업에서 발굴한 치매환자의 지원서비스 이용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며, 치매 중증도별 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본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2007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DB에 등록된 치매환자 23,07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동반질환, 건강습관력 및 치매지원서비스 이용실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통계를 이용하였다. 치매중증도별 인구학적 특성과 동반질환, 건강습관력, 치매지원서비스는 서술통계와 Pearson's Chi-square test로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았고, 연령분포는 85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교육정도는 무학이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사별이 기혼보다 더 많았고, 동거상태는 독거보다 가족동거노인이 더 많았으며, 의료보장 형태는 의료보험 대상자가 대다수였다. 대상자의 MMSE 점수의 분포도(범위 0-30점)는 0-17점이 대다수였고, 임상치매평가척도(CDR) 분류결과는 경도 치매가 가장 많았다. 2) 치매환자의 중증도별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과 연령, 교육정도, 결혼상태, 동거상태, 의료보장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치매환자의 중증도별 동반질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비만, 뇌졸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치매환자의 중증도별 건강습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음주여부, 흡연여부, 규칙적인 운동 실행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치매환자의 성별 치매지원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상담서비스, 방문간호, 가족프로그램, 배회 인식표 제공, 의료기관 연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치매지원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담서비스, 방문간호, 가족프로그램, 인지치료프로그램과 조호물품 제공, 치료비 지원, 배회 인식표 제공, 의료기관 연계 및 복지 기관 연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치매환자의 중증도별 치매지원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든 종류의 보건의료서비스와 복지서비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치매환자의 동거상태별 치매지원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방문간호서비스, 가족프로그램, 인지치료프로그램과 배회 인식표 제공, 의료기관 연계, 기타 연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보장별 서비스 이용에서는 상담서비스, 방문간호, 인지치료프로그램과 조호물품 제공, 배회인식표 제공, 의료기관 연계, 복지기관 연계, 기타 연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거주 치매노인은 상담서비스, 의료기관 연계, 조호물품 제공, 방문간호, 치료비 지원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향후 치매환자를 위한 특성별, 진행 단계별로 알맞은 보건의료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취약계층에 필요한 약물관리, 이상행동 상담 및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 개발에 있어서는 기존의 재가복지 또는 시설복지서비스를 재점검하여 치매환자에 적합한 서비스로 재구성해야하고 서비스 전달의 용이성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329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62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