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 0

베이비붐세대 隱退가 不動産 市場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Title
베이비붐세대 隱退가 不動産 市場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Author
서동욱
Advisor(s)
曺 紋 鉉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國 文 要 約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한국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증한 시점인 1955년부터 산아제한정책의 도입으로 출산율이 둔화되는 시점인 1963년까지 출생한 세대를 말한다. 2011년 기준 주민등록상 약 7,345,245명으로 전체 인구의 14.6%에 해당한다. 한국전쟁 이후 유년기에 절대 빈곤의 시대를 겪으면서 성장했던 이들은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다양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겪은 세대이기도 하다. 2010년부터 베이비붐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됨에 따라 이들의 은퇴가 국가경제 및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비붐세대의 평균 자산은 41,611만원이며 이 중 금융자산의 비율은 23.2%로 노후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한 이들이 노후생활자금 마련을 위해 부동산을 매도할 경우 부동산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 베이비붐세대는 그들의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성장주기에 따라 부동산시장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80년대에는 사회 초년생으로서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의 새로운 주택유형을 도입시켰고, 1990년대에는 주택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여 주택 200만호 공급 정책을 만들어냈다. 베이비붐세대가 중장년층이 된 2000년대에는 주택가격 상승과 중대형 가격 상승을 이끌기도 했다. 이들은 부모봉양과 자녀부양을 함께 책임져야 하는 낀 세대로서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노후에 대한 준비를 공적연금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공적연금의 소득 대체율이 높지 않고 재정건전성이 악화되어 실제 노후자금으로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주택시장 침체의 여파로 주택가격이 하락하고 있어 보유 주택을 통한 주택연금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부족한 노후생활자금 마련을 위해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에도 재취업을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베이비붐세대가 은퇴 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영향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3년간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 다음과 같은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은퇴 후 투자수단으로서 부동산이 유망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부동산 중에서는 수익형 부동산이 최고라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수익형 부동산 중에서는 상가가 가장 유망한 투자자산으로 인식한다. 은퇴 후 주택구입 시 선호하는 주거지역은 교통보다는 쾌적하고 편의시설이 양호한 지역을 원하고 있으며 향후 부동산 가격은 안정수준의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여 부동산에 대한 호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베이비부머들은 현재 거주 주택에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강남지역의 베이비부머들은 강남지역을 다른 지역 거주자에 비해 높은 비율로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강북지역의 베이비부머는 한강변 개발지역을 가장 투자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서울지역의 베이비부머는 아파트를 은퇴 후 거주공간으로 선호하였다. 경기지역 베이비부머는 지방전원주택을 은퇴 후 선호하는 주거지역으로 꼽았다. 대형주택에 살고 있는 거주자는 기존 거주지를 선호하며 소형주택에 살고 있는 베이비부머의 경우 타 지역으로 이주를 생각하고 있다. 베이비붐세대가 은퇴를 시작했지만 아직 노후준비를 충분히 하지 못한 관계로 현 거주지에 계속 거주할 것으로 예상되어 매도물량 증가에 따른 부동산시장 폭락 가능성은 많지 않아 보이며, 부족한 노후자금을 보충해 줄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6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5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REAL ESTATE(부동산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