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6 0

댄스스포츠 스파이럴 턴 동작 시 근 협응 패턴과 운동역학적 요인 분석

Title
댄스스포츠 스파이럴 턴 동작 시 근 협응 패턴과 운동역학적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mucle coordination patterns and kinematic parameters of spiral turns in dancesport
Author
유혜숙
Alternative Author(s)
Yoo Hae-suk
Advisor(s)
최인애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댄스스포츠 라틴댄스 스파이럴 턴 동작 시 숙련도에 따른 근 협응 패턴을 비교 분석하고 운동역학적 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스파이럴 턴 동작의 올바른 수행과 효율적인 회전기술을 통한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숙련도를 숙련자, 중급자, 초급자로 구분하였으며, 그룹별 5명씩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전도 측정 시스템, 3차원 영상 분석 시스템, 지면반력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eak EMG의 Phase 1에서 좌측 복직근, 좌측 척추기립근, 우측 대퇴이두근, 좌측 전경골근, 좌측 비복근은 E>I=B로 나타났으며 좌측 대퇴이두근은 E=I>I=B로 나타났고 우측 비복근은 E>I>B로 나타났다. Phase 2에서 우측 광배근과 좌측 광배근은 E=I>I=B로 나타났으며 우측 대퇴직근, 우측 대퇴이두근, 우측 비복근에서는 E>I=B로 나타났다. Phase 3에서 우측 복직근, 좌측 복직근, 우측 척추기립근, 좌측 대퇴직근, 우측 전경골근은 E>I=B로 나타났으며 좌측 전경골근은 B>I=E로 나타났다. 근 활성도의 Phase 1에서 우측 복직근, 좌측 복직근, 우측 광배근, 좌측 대퇴이두근은 E>I=B로 나타났으며 Phase 2에서 우측 복직근, 좌측 복직근, 우측 광배근, 우측 척추기립근, 우측 대퇴직근, 우측 비복근은 E>I=B로 나타났고 좌측 비복근은 E=I>I=B로 나타났다. Phase 3에서 우측 복직근, 좌측 복직근, 우측 광배근, 좌측 광배근, 우측 척추기립근, 우측 대퇴이두근, 우측 비복근, 좌측 비복근은 E>I=B로 나타났다. 시간적 근 협응 패턴은 Phase 1에서 숙련자가 우측 광배근→우측 척추기립근→우측 복직근, 우측 대퇴직근→좌측 대퇴직근→좌측 비복근순으로 나타났으며, Phase 2에서 좌측 광배근→좌측 척추기립근→좌측 복직근→우측 척추기립근→우측 광배근, 우측 비복근→우측 대퇴이두근→좌측 비복근순으로 나타났고, Phase 3에서 우측 광배근→우측 복직근→좌측 복직근, 우측 척추기립근→좌측 척추기립근, 우측 대퇴이두근→좌측 대퇴직근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학적 요인인 소요시간과 COM의 전ㆍ후 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COM의 좌ㆍ우 변위에서 Event 3는 E>I=B로 Event 4는 B=E>E=I로 나타났고 COM의 수직변위에서 Event 3는 E>I>B로 나타났다. 운동역학적 요인인 수직 지면반력에서 Max는 E>I>B로 나타났으며 전ㆍ후 지면반력에서 Phase 2는 E=I>I=B로 나타났고 Max(-)방향은 E>I=B로 나타났다. 모멘트 수직축에서 Phase 2와 Max(+)방향은 E>I=B로 나타났으며 COP 이동거리에서 Phase 2은 I>E=B로 나타났고 Phase 3은 E>I=B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대체적으로 숙련자들의 Peak EMG와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중급자와 초급자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련자는 상ㆍ하체 근육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중급자는 하체 근육의 수치가 높았으며, 초급자는 상ㆍ하체 근육의 수치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숙련자들의 근육 사용 빈도가 중급자와 초급자보다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근 협응 패턴을 분석한 결과, 숙련자는 상체 움직임을 시작하고 나서 하체 움직임을 시작한 반면, 중급자와 초급자는 하체의 근육을 먼저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련자는 스파이럴 턴을 수행할 때 다른 그룹에 비해, COM이 가장 높게 올라가고 소요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지면반력도 숙련자가 가장 크고, 이어 중급자, 초급자순으로 나타나, 숙련자들은 스파이럴 턴 동작을 수행할 때 지면반력과 함께 모멘트 수직축의 값도 크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6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4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