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6 0

共同住宅 鐵筋콘크리트 工事의 建設廢棄物 低減方案에 관한 硏究

Title
共同住宅 鐵筋콘크리트 工事의 建設廢棄物 低減方案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Reducing Wastes from Reinforced Concrete Works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Author
정영기
Alternative Author(s)
鄭榮基
Advisor(s)
김재준
Issue Date
2013-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건설산업은 상당량의 폐기물을 생산하는 활동으로서 건설폐기물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건설폐기물량의 증가는 매립지 부족의 문제와 유효자원의 낭비 등 각종 피해를 초래하며, 부족한 골재자원은 원활한 건설프로젝트 수행을 위협하고 있다. 건설 폐기물의 부적절한 관리는 국가 차원의 자원 낭비일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과 파괴를 가중시키고 나아가서는 지구 차원의 환경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수도권 매립지 관리공사(2011)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의 매립은 2,792톤/일, 소각은 1,283톤/일, 재활용은 179,276톤/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축공사중 철근콘크리트 공사로 인한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전체공종의 약 43%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신축단계의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건설폐기물 발생유발요인과 발생량을 분석 및 측정하고, 건설폐기물 발생유발요인에 따라 건설폐기물이 얼마나 발생하는 지를 관리하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실질적인 현장 폐기물 절감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1)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건설폐기물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뿐만 아니라 발생량, 성상별 발생 프로세스, 처리 방법별 처리, 관리실태 분석 등 건설 폐기물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건설폐기물 발생량을 고찰하여 어떤 공종에서 얼마나 발생되는지를 분석하고, 건설폐기물 발생요인들을 고찰하여 건설폐기물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2) 건설폐기물 발생관리 모델 연구방법설정: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분석방법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공정진행에 따른 건설폐기물 발생량을 분석에 관한 연구방법을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현장에서 폐기물이 얼마나 발생되며, 어떤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철근콘크리트공사 건설폐기물 발생요인 위험도 분석 및 발생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방법을 설정하여 주요 핵심관리요인들을 도출하는 관리도구로 활용하였다. 셋째, 도출된 주요 핵심관리요인들에 대한 건설폐기물 절감방안들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절감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설정하였다. 3) 건설폐기물 위험도분석 및 발생관리모델: 건설폐기물 발생의 위험도가 높은 발생요인들을 대상으로 건설폐기물 발생관리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건설폐기물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 위험요인들을 도출하였다. 4) 건설폐기물 절감방안 및 절감효과 분석: 도출된 핵심 위험요인들을 대상으로 건설폐기물 절감방안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수립된 건설폐기물 절감방안이 실질적으로 건설폐기물 절감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폐기물 발생요인에 대한 핵심 위험요인과 이에 대한 주요 절감방안 등은 건설폐기물 저감을 위한 관리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23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23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