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5 0

한국과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과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inuous use of Applications among Korean and Chinese Smartphone users
Author
곡비비
Alternative Author(s)
Gu Feifei
Advisor(s)
박성복
Issue Date
2014-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함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도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애플리케이션 유형은 정보, 엔터테인먼트, 무선 게임, 커뮤니케이션으로 분류하였다. 기존의 이동전화가 소통에 있어 음성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기능에 의존하였다면,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은 이용자에게 새로운 소통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카카오톡으로 대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별도의 문자 이용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음성 채팅, 영상 통화, 그룹 채팅 등을 통해서 대인 관계 형성이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 이용자들이 수많은 애플리케이션 중에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잉용하는데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과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가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이용정도의 차이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이용의사에 대해, 이론적 논의에서 언급되었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 혁신성 요인, 인지된 속성 요인, 주관적 규범과 더블어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정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에 한하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은 2013년 11월 14일부터 23일까지 10일간 걸쳐 총 370부(한국 190부, 중국 180부)의 응답이 통계적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먼저 한국과 중국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특성을 비교하면, 가입 앱 수와 문자 송신 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 이용자는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는 반면 한국 이용자는 더 많이 활용하는 편이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속성들은 연령과 학력이 애플리케이션 이용특성에 양형을 끼치는 것으로 보였다. 다음으로 한국과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혁신성은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이용을 예측해 주는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새로운 정보기술 이용에 대한 신념인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유희성은 모두 지속이용에 매우 높은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 애플리케이션 지속이요에도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 먼저 표본상의 일반화 문제이다. 연구 대상이 주로 한국과 중국 20대의 대학생에 분석으로 한정하고 향후에는 더 정교한 표본배포를 고려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동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등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지는 못했다. 향후연구에서 다양한 변인들을 설정하여 애플리케이션 지속이용에 대해 풍부한 영구결과와 함의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기대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120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4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