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8 0

한국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volunteer education lecturers : with a focus on volunteer centers
Author
서미화
Alternative Author(s)
Seo, Mi hwa
Advisor(s)
주성수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의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에 관해 다음의 네 가지 연구질문을 설정했다. 첫째,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이 처음 시도된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고 최근에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최근의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은 교육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고 있는가? 셋째,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이 목적 달성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넷째,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해결해야 할 과제와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 관련 문헌조사 및 면접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시도했다. 첫째, 2000년대 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의 현황을 파악했다. 둘째, 최근에 이루어졌던 자원봉사센터들의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평가했다. 셋째,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이 가진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했다.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프로그램의 측면, 강사단 운영의 측면, 환경 및 제도의 측면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봤다. 먼저 프로그램의 측면에서는 다시 네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예비 강사들의 욕구와 경험적 특성의 적용이 미흡한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의 내용을 예비 강사의 경험과 장점을 반영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화․맞춤화(customizing) 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문제점으로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이 가치교육을 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의 내용을 다루는데 소홀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치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에 관한 교육내용이 강화돼야 한다. 세 번째로 자원봉사교육에 적합한 소통적 교육방법의 체득을 위한 배려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원봉사교육에 적합한 소통적 교육방법을 체득할 수 있는 과정이 포함돼야 한다. 끝으로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 교육구성의 불균형과 관련해, 예비 강사들의 균형 있는 역량 개발을 위한 가치관․태도 관련 내용의 강화를 제안했다. 강사단 운영의 측면에서는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강사에 대한 상(像)과 강사단 운영에 관한 계획이 부재한 경우가 많은 문제가 있다. 개선 방안으로 강의활동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강사단의 역할과 상에 대한 공유와 함께 구체적인 운영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강사들이 자신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훈련하고 연마할 기회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강사양성과정 이후 강사들의 자발적인 학습동아리(community of practice)를 구성․운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센터와 강사단 사이의 갈등 문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원봉사센터와 강사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규범을 마련하고, 소통과 갈등해결을 위한 관리역량의 강화가 필요하다. 환경 및 제도의 측면에서는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자원봉사교육 강사에 관한 일반적인 선입견들로 인한 문제가 있어서 자원봉사교육 강사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정립해야 한다. 둘째,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에 대한 역량과 자원의 투여가 부족하므로 교육주체―자원봉사센터와 교육담당자―의 효과적인 양성과정 수행을 위한 충분한 역량의 투여가 필요하다. 셋째, 특히 지역의 중소규모 자원봉사센터들의 경우 자원봉사교육 양성과정 수행과 관련해 더욱 열악한 조건에 놓여있으므로 지역의 여건과 수요에 부합한 강사양성과정의 개발과 관련 지원이 요긴하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에 관한 시도들이 공유되지 않은 체, 각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지역과 층위별로 분산된 자원봉사교육 강사양성과정 관련 정보와 자원을 총괄하고, 교육실행 주체들을 지원할 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3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4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NON-GOVERNMENT ORGANIZATION(NGO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