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미-
dc.contributor.author이소연-
dc.date.accessioned2020-02-26T16:31:53Z-
dc.date.available2020-02-26T16:31:53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33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721en_US
dc.description.abstract클래식과 영화음악이라는 다른 분야에서 다양한 음악을 발표하며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끼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871)와 한스 짐머(Hans Zimmer, 1957-)의 대표작 <The Rite of Spring>과 <Gladiator>는 작곡가의 상상에 의해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과 실제 있었던 로마시대의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공통적으로 현실과 거리가 있는 시대와 상황을 배경으로 한 무용과 영화로서 높은 음악적 완성도를 가지고 있다. 영상음악 작곡가로 활동하고 있는 필자는 스트라빈스키의 <The Rite of Spring>이라는 작품을 공부하면서 클래식 음악과 현 시대의 영상음악이 많은 음악적 기법들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특히 <The Rite of Spring>에서 나타나는 변박, 복합화성 등의 요소는 영화나 게임의 전투장면에서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법이기 때문에, 전쟁 영화로서 작품의 완성도를 인정받은 <Gladiator>와의 비교 분석은 그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실과 시대와 상황이 이질적인 다른 장르의 두 작품이 어떤 음악적 기법들을 공유하고 있는지 밝히고 있다. 두 작품은 민속 선율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마이너 테트라코드를 곡 전반에 걸쳐 사용하였고, 7세기 페르시안 전통 음악에서 발생한 옥타토닉 음계를 선율과 화성적으로 사용하여 ‘전쟁’과 ‘제사’라는 의식과 행위적 표현이 음악으로 명확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예측하기 힘든 변박을 통해 장면적 묘사를 극대화 하였으며, 관현악기법적으로 주종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선율의 악기배치를 통해 현실과 거리가 있는 시대 배경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다른 시대에 만들어진 다른 장르의 예술 작품인 <The Rite of Spring>와 <Gladiator>는 이처럼 배경적 묘사를 위해 다양한 음악적 기법들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Igor Stravinsky의 <The Rite of Spring>과 Hans Zimmer의 <Gladiator>의 작품 비교 분석-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Analysis on Stravinsky’s <The Rite of Spring> and Zimmer’s <Gladiato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소연-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음악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