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경주-
dc.contributor.author유영상-
dc.date.accessioned2020-02-26T16:31:44Z-
dc.date.available2020-02-26T16:31:44Z-
dc.date.issued2014-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28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115en_US
dc.description.abstract국 문 요 약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그 속도가 더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는 1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라면 2017년에는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 중 독거노인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OECD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빈곤한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양로시설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용의 부담이 적어 이러한 노인들이 생활할 노인주거시설로써의 중요성이 크나, 양로시설 연구를 살펴보면 관심이 줄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빈곤노인과 독거노인의 주거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양로시설을 선택하고 양로시설의 현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도시 중 가장 높은 노인인구를 가지고 있으나 노인 주거복지시설 정원이 노인 수에 비례하여 가장 부족한 서울시 양로시설로 정하였다. 서울시 양로시설 중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시설은 총 19곳이었으며, 그 중 협조가 가능한 11곳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현행 노인복지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관련 시설기준을 통한 현황분석과 입소자 만족도 분석을 하였다. 현장 사례조사에서는 조사대상 양로시설의 사진촬영과 함께 미리 작성한 조사지를 사용하여 각 시설의 관리자가 시설 현황을 기입하게 하였으며, 조사대상 양로시설의 입소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관련 설문조사를 연구자와 1:1 면접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양로시설 현황분석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서울시의 조사대상 양로시설은 10인이상 30인 미만의 중간규모로 종교·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시설의 비중이 높았다. 그 이유는 중규모가 경제적이면서 관리 운영에 적절한 규모로 종교나 공공의 시설지원 이유로 사료되며 앞으로 적정 규모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양로시설의 위치는 가능하면 주거 밀집지역에 설치하여 노인들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양로시설의 공간현황에서는 현재와 같이 모든 공간을 갖춘 시설들의 추가에는 공간 확보에서 입소자의 비용부담이 커질 것이 예상되므로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최소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3) 양로시설의 설비기준을 통한 현황분석에서는 소규모시설 쪽이 설비기준을 충족하였고, 큰 규모일수록 설비기준에는 미흡한 면이 있으나 다양한 공간과 서비스를 갖추고 있었다. 공간별로 살펴보면 개실공간 중 침실은 침대형이 더 편리하나 침대형으로 바꾸기에는 현재 개실공간이 협소하였으므로 이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공용공간은 설비기준 외 다양한 공간들이 마련되었으나 그 공간들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 여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의료공간은 간호사실을 가장 많이 갖추고 있었으나 다른 공간들과 겸용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서비스 공간은 조리실과 세탁실로 모든 시설이 갖추고 있었으나 세탁실의 경우 입소자들이 이용하기에는 구조나 마감재들의 선택이 적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과의 겸용으로 인해 안전상의 문제도 나타났다. 이러한 부분은 양로시설의 설계 시 처음부터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들을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의 적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양로시설 관리공간의 경우는 현황에서의 설치비율은 양호하나 실제는 공용공간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관리자들의 공간 마련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 양로시설의 직원현황은 규모에 따른 배치기준이 달랐으나 시설의 규모가 커질수록 직원1인당 맡아야 하는 입소자의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입소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감소가 예상되므로 직원배치 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5) 양로시설에서 제공되는 생활서비스는 식사, 가사활동, 이동, 목욕서비스가 해당되며 입소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그 필요도의 증감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서비스는 진료, 간호, 건강관리, 재활서비스가 해당되며 이 또한 입소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그 필요도의 증감이 다를 것이다. 입소자들의 건강상태 구분에 따른 양로시설에 임시나 보조직원을 허용하여 운영의 편의를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2. 입소자 만족도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양로시설의 입소자 연령이 입소자 기준 연령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인간수명 증가로 입소노인의 거주기간이 장기화됨이 원인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령대에 따른 만족도가 다르고 그에 맞는 시설이 갖추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양로시설로 입소하는 대부분의 노인이 지금 양로시설에 비해 좋지 않은 환경에서 생활했었음으로 이는 상대적으로 빈곤한 노인들을 위한 주거공간 마련이 더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2) 입소자들이 생활하는 양로시설의 규모는 중간규모가 가장 많았으며 이런 결과는 조사대상 규모의 비율과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소자들의 경비 방식에서는 63.5%가 비용 지불 없이 양로시설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는 입소자들이 빈곤층으로 앞으로도 빈곤 노인을 위한 양로시설이 확충되어야 함을 반증 해 주었다. 3) 입소자들의 공간만족도를 살펴보면, 시설의 규모와 공간만족도간, 입소비용과 공간만족도간에 관계가 없음이 유추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빈곤노인용 주거시설에 대한 접근은 작고 저렴한 곳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 입소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직원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시설 직원들이 입소자들에게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였다. 생활서비스 만족도도 높았으며 이는 양로시설의 특성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며 청소, 빨래 등을 할 수 있는 노인층이 입소하기 때문이었다. 5) 입소자의 공용공간, 생활서비스, 의료서비스 만족도 순위에서는 일반적 사용공간 외에 종교실의 순위가 높았다. 생활서비스는 식사, 가사활동, 이동, 목욕서비스 순으로 의료서비스는 간호, 건강관리, 재활, 진료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노인들이 이용하는 종교실과 입소자 건강에 따른 생활서비스 제공 방안과 의료서비스 중 진료서비스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6) 입소자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연령이 높고, 이전거주환경이 좋을수록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령별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아지므로 연령대별 차별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로시설은 입소노인의 연령대가 높고, 넓게 분포되어 이점을 감안한 운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7) 입소자의 거주시설 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규모가 커질수록 생활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큰 규모 시설에서 제공되는 생활서비스의 장점을 분석하여 소규모 시설에의 적용방안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8) 입소자의 거주시설특성과 만족도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는 입주노인의 60%이상이 무비용 부담자이므로 규모나 비용에 따른 만족도가 상관이 없었다. 이것으로, 서울시 양로시설의 질적 증가보다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향후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공간에 대한 직원들의 이용 빈도에 대한 연구가 만족도와 함께 진행되어 바람직한 관리공간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입소자 연령에 따른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그 이유를 유추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령대에 따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나라의 노인문제가 빈곤층과 독거노인들의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에서 나아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빈곤노인을 위한 양로시설이 개발·보급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서울시 노인주거복지시설 중 양로시설의 현황분석과 입소자 만족도-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Resident Satisfaction for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u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유영상-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u, Young Sa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