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2 0

간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세포암 환자와 가족의 경험

Title
간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세포암 환자와 가족의 경험
Other Titles
Experi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receiving hepatic arterial chemoembolization and their families
Author
전현식
Alternative Author(s)
Jun, Houn sik
Advisor(s)
김분한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간동맥화학색전술을 받고 있는 환자와 가족이 느끼는 경험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간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환자와 가족이 느끼는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임상현장에서 보다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간호 중재 방안의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간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세포암 환자 10명과 주 보호자 6명으로 자료 수집기간은 2014년 3월 19일부터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른 2014년 4월 25일까지이며,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일대일 심층면접을 하였다. 자료의 누락과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참여자의 허락 하에 면담 내용을 보이스 레코더를 이용하여 녹음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분석방법을 통해 환자의 경험에서 64개의 주제(theme)를 정하였고, 주제 가운데 통합할 수 있는 것을 모아 22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과 9개의 범주(category)로 구성하였다. 가족의 경험에서는 27개의 주제(theme)와 10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 그리고 5개의 범주(category)로 구성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간동맥화학색전술을 받은 간세포암 환자와 가족의 경험 중 환자의 경험으로 수용, 희망, 건강의 끈을 잡음, 긍정적 삶, 풍성한 지지체계, 가족에게 부담스러운 존재,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 시술 반응, 재발 반응의 9가지 범주와 가족의 경험으로는 가족으로서의 마음, 부정적 감정, 긍정적 감정, 간병의 소진, 재정적 문제의 5가지 범주로 각각 정의 하였다. 환자의 경험에서 첫 번째 범주는 <수용>으로 2가지의 주제모음‘긍정적인 마음으로 치료과정을 충실히 이행',‘운명으로 현실을 받아들임’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희망>으로 2가지의 주제모음 ‘치료 가능성에 대한 희망’,‘믿음의 삶'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건강의 끈을 잡음>으로 1가지 주제모음‘향상된 건강관리'로 구성되었다. 네 번째 범주는 <긍정적 삶>으로 1가지 주제모음‘일상속에서 자신의 삶 찾음'으로 구성되었다. 다섯 번째 범주는 <풍성한 지지체계>로 1가지 주제모음‘주변인의 도움과 고마움’으로 구성되었다. 여섯 번째 범주는 <가족에게 부담스러운 존재>로 4가지의 주제모음‘자식에 대한 걱정’,‘가족에게 미안함’,‘아픈것을 숨김’,‘자신이 경제 문제 해결’로 구성되었다. 일곱 번째 범주는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3가지의 주제모음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와 걱정’,‘치료에 대해 희망 없음’,‘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구성되었다. 여덟 번째 범주는 <시술 반응>으로 3가지의 주제모음‘시술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시술에 대한 안도감’,‘시술과 관련된 증상들'로 구성되었다. 아홉 번째 범주는 <재발 반응>으로 5가지의 주제모음‘재발의 수용’,‘절망감’,‘원망’,‘걱정’,‘후회와 아쉬움’으로 구성되었다. 가족의 경험에서 첫 번째 범주는 <가족으로서의 마음>으로 1가지 주제모음 ‘미안함과 죄책감'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부정적 감정>으로 4가지의 주제모음‘걱정과 불안’,‘의료진에 대한 불만’,‘두려움’,‘슬픈 감정을 억제함’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긍정적 감정>으로 2가지의 주제모음 ‘희망’,‘마음의 위로’로 구성되었다. 네 번째 범주는 <간병의 소진>으로 2가지의 주제모음‘신체적 탈진’,‘암환자 돌봄에 대한 막막함’으로 구성되었다. 다섯 번째 범주는 <재정적 문제>로 1가지 주제모음‘경제적 어려움’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보다 질적인 간호와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간호 중재 방안의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가족을 포함한 간호중재를 통해 환자와 가족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정보의 공유가 필요하며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및 의료 서비스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하다고 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0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8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CLINICAL HOSPICE CARE(임상호스피스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