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7 0

성인 여성의 요실금 특성 및 자가 간호 이행도

Title
성인 여성의 요실금 특성 및 자가 간호 이행도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female urinary incontinence, and self care compliance
Author
이은영
Alternative Author(s)
Lee,eun young
Advisor(s)
이정섭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병원 외래를 방문하여 요실금을 진단 받은 35세 이상의 기혼 성인 여성의 일반적 특성, 요실금 특성, 배뇨증상과 자가 간호 이행도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요실금 성인 여성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근거로 요실금에 대한 관리 방법과 지역사회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요실금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2개의 병원 외래에 방문하여 요실금을 진단 받고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한 35세 이상 기혼 성인 여성 32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요실금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허경옥(2003)의 연구를 참고하여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4년 2월 3일부터 3월 5일까지 총 35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후 최종적으로 32부의 설문지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배뇨증상 측정도구는 Jackson 등(1996)이 개발한 The Bristol Femal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Questionnaire을 이화 여성 요실금 전문팀(2001)이 번역과 역번역을 실시한 후 수정 보완한 도구이었고, 자가 간호이행도 측정도구는 장수진(2006)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은 66-75세가 37.5%로 가장 높았고, 56-65세 25.0%, 46-55세 18.7%, 76-85세 12.5%, 35-45세 6.3%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이상이 34.4%, 중학교 및 초등학교가 28.1%, 무학 9.4% 순으로 나타났다. 배우자는 ‘있음’이 59.4%, 동거형태는 ‘자녀와 함께 산다’가 53.1%로 나타났다. 한달 용돈은 ‘30만원 이하’가 37.5%, ‘10만원 이하’가 25.0%, ‘20만원 이하’가 21.9%, ‘없다’가 15.6%순을 나타났다. 질병은 고혈압이 40.6%, 퇴행성관절염이 34.4%, 당뇨병이 18.8%, 갑상선 질환 및 고지혈증이 15.6%순으로 나타났다. 복용 중인 약물 개수는 ‘없다’가 35.7%, 1-4개는 34.4%순으로 나타났고, 자연분만은 3회 이상이 5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왕절개는 경험이 ‘없는 경우’가 84.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산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 출산 연령은 30-39세가 63.3%로 나타났고, 폐경 연령은 46-50세가 53.6%로 나타났다. 산부인과 수술경험은 ‘있음’이 53.1%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요실금 특성은 요실금의 원인은 ‘모름’이 50.0%로 나타났다. 불편한 배뇨증상은 ‘실금’이 61.4%로 나타났고, 요실금 치료경험은 ‘없음’이 75.0%로 나타났으며, 치료경험이 없는 이유로는 ‘질환임을 몰라서’가 50.0 %, ‘늙어서 생기는 현상으로 대수롭지 않아서’가 50.0%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요실금 정보를 얻는 곳은 ‘친구, 이웃, 가족’이 56.2% 로 나타났고, 요실금 지식정도는‘전혀 모른다’가 56.2%로, 가족 지지는 ‘긍정적’이 59.4%로 나타났다. 피부 문제는‘없음’이 78.1%로 나타났고, 피부 관리는 ‘물로 씻는다’가 5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각한 문제는 수면 문제가 37.5%, 심리적 문제는 31.2%로 높게 나타났다. 검사 후 시행한 치료는 수술 치료가 46.9%, 약물 치료 31.1%,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는 9.4%, 기타(보류)는 12.4%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배뇨증상 특성은 주간 빈뇨는 1-6회가 40.6%, 야간 빈뇨는 2회가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절박뇨는 ‘드물게 그렇다’가 37.5%, 절박성 요실금은 ‘드물게 그렇다’가 40.6%로 나타났다. 방광통증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71.9%, 지림 정도는 ‘일주일에 한번이나 그미만’, ‘하루에 여러 번’이 31.3%이었다. 복압성 요실금은 ‘가끔 그렇다’가 28.1%, ‘대부분의 경우 그렇다’, ‘드물게 그렇다’가 25.0%이었고, 이유 없는 요실금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46.9%이었다. 요실금 양은 ‘속옷이 젖는 정도’가 37.5%, ‘속옷에 묻는 정도’가 34.4%, 속옷 교환, 보호대 착용은 ‘한다’가 78.0%로 나타났다. 속옷 및 보호대의 종류는 ‘속옷을 갈아 입는다’가 52.0%로 나타났고, 하루에 속옷, 보호대 교환 횟수는 2-3회가 51.9%로 나타났다. 겉옷 교환은 ‘전혀 그렇지 않다’, ‘드물게 그렇다’가 각각 33.3%이었고, 배뇨 지체는 ‘전혀 그렇지 않다’가 56.2%로 나타났다. 배뇨 시 힘주기는‘ 전혀 그렇지 않다’가 56.2%이었고, 간헐적 흐름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56.2%이었다. 취침 중 지림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62.4%이었고, 소변 줄기 세기는 ‘약간 약해졌다’가 43.7%이었다. 도뇨 경험은 모두가 경험이 없었고, 작열감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78.1%이었다. 잔뇨감은 ‘전혀 그렇지 않다’가 40.6%, 이었고, 줄기 멈춤은 ‘할 수 있지만 힘들다가 37.5%이었다. 주관적 요실금 유형은 복압성 요실금 87.5%, 절박성 요실금 78.1%, 혼합성 요실금 68.8%, 이유 없는 요실금 53.1%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자가 간호 이행도는 하부 요인으로 생활습관 간호이행, 식생활 간호이행, 의료생활 간호이행으로 나뉘었다. 생활습관 간호이행 항목으로는 9항목 구성으로, 전체 1,440점 중 1,019점으로 나타났고, 평균 3.5점이었다. 식생활 간호이행 항목은 9항목 구성으로, 전체 1,440점 중 1,113점으로 나타났고, 평균 3.5점이었다. 의료생활 간호이행은 4항목 구성으로 전체 640점 중 460점으로 나타났고, 평균 3.5점 이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가 간호 이행도 차이는 제왕절개 횟수와 식생활 및 의료생활 간호 이행도가 차이가 있었고, 자연분만 횟수와 의료생활 간호이행도와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요실금 특성과 자자간호 이행도 차이는 요실금 정보를 얻는곳과 생활습관, 식생활 및 의료생활 간호 이행도 각각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가족의 지지와 의료생활 간호 이행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주관적 요실금 유형과 자가 간호 이행도간의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혼 성인 여성의 일반적 특성, 요실금 특성 및 배뇨증상 특성과 주관적 요실금 유형, 그리고 자가 간호 이행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지역사회의 공공 및 민간의료기관의 전문가들은 가족의 지지를 포함한 내용은 물론 요실금 환자 스스로 적정기능수준의 관리능력을 갖추기 위한 요실금 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행위를 변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때 교육에 사용될 매체로는 일상생활에서 접근이 용이한 TV, 라디오, 잡지, 신문 등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요실금 환자의 치료 및 자가 관리에 효율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교육은 기존의 요실금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요실금의 조기 치료 및 자가 간호 이행율이 증가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국민 보건의료비 경감의 효과를 도모하게 될 것이다. 다른 질환과 연관된 배뇨특성에 따른 세분화된 요실금 관리 및 요실금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자가 인식고취, 그리고 가족의 적극적인 지지와 효율적인 요실금 관리용품 이용을 위한 다학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00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12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GERONTOLOGICAL NURSING(임상노인전문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