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2 0

등가 스트럿 모델을 이용한 조적채움벽 골조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Title
등가 스트럿 모델을 이용한 조적채움벽 골조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Other Title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asonry-Infilled Frame Structure using Equivalent Strut Models
Author
김민재
Alternative Author(s)
Kim, Min Jae
Advisor(s)
유은종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조적채움벽은 RC 골조 건축물에서 칸막이나 외벽의 치장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비구조재로서 하중으로서만 고려되었다. 그러나 조적채움벽은 전체 구조물의 강성, 강도, 변형력에 있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하고 정확한 내진성능평가를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건축물의 내진성능의 중요도가 부각되며 전국적으로 비내진 기존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보다 안전한 내진보강을 위해서는 기존 건축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가 올바로 수행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적채움벽의 재료특성, 해석모델에 대하여 재료시험, 문헌조사, Pushover 해석 등을 통해 국내의 사정에 가장 알맞은 조적의 재료특성과 해석모델을 선택하였다. 또한 앞서 선택한 재료특성과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조적채움벽 골조 구조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수행, 현재 시행되고 있는 내진성능평가기준과 비교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조적의 재료특성과 각 특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해 조사하고 중요한 특성에 대한 재료 시험과 문헌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조적채움벽의 해석모델 중 거시적 모델인 등가 스트럿 모델에 대해 조사하였다. 3장에서는 앞서 조사한 조적의 재료특성과 등가 스트럿 모델을 이용하여 기존에 수행된 시험 모델을 Pushover 해석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재료특성과 스트럿 모델을 선택하였다. 4장에서는 국내 조적채움벽 골조 건축물 중 표준설계도에 의해 건축되어 구조가 유사한 개체가 다수인 학교 건축물에 대하여 3장에서 선택한 조적의 재료특성과 스트럿 모델을 이용하여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5장에서는 내진성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기술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8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49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RONTIER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AL ENGINEERING(첨단건축도시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