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1 0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주간 졸림증 및 수면의 질

Title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주간 졸림증 및 수면의 질
Other Titles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uthor
엄지훈
Alternative Author(s)
Eom, Ji Hun
Advisor(s)
김경래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주로 심한 코골이, 불면증, 과도한 주간 졸림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주로 상기도의 부분 혹은 전체 폐쇄로 인한 무호흡과 저호흡에 의해 발생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지 않을 시 사망률 및 심혈관 질환을 증가시키고 인지기능을 감소시키며, 자동차 사고나 기억력, 주의력 저하, 인슐린 저항성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삶의 질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과, 수면다원검사에서 수면무호흡증의 심한 정도 사이의 연관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주간 졸림증 및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Epworth Sleepiness Scale(ESS)을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로 주간수면과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을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뇌졸중, 천식 등의 동반 질환의 유무 및 흡연력과 음주력을 의무기록지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환자들은 PSQI, ESS 설문지를 작성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고, 목둘레,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를 측정하였으며, 신장과 몸무게를 측정하여 체질량 지수를 구하였다. 1. 전체 환자는 131명으로 수면다원검사에서 무호흡-저호흡 지수(AHI)가 5 이상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진단받은 환자는 100명이었다.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미만인 나머지 31명은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은 신체측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남녀 성비가 두군 간에 차이가 큰 것이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 동반질환에서는 고혈압이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수면다원검사 전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PSQI 총점의 평균점수는 환자군이 7.75±3.75점, 대조군이 6.65±3.73점이었고, ESS 총점의 평균점수는 환자군이 9.2±5.8점, 대조군이 7.9±5.0점이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에서 전체수면시간, 평균 혈중 산소포화도, 최저 혈중 산소포화도 및 각성지수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3. 무호흡-저호흡 지수의 심각도에 따라 경증는 28명, 중등도는 20명, 중증은 52명이었다. PSQI 총점의 평균점수는 경증 7.54±3.26점, 중등도 7.79±3.89점, 중증 7.95±4.07점이었다. ESS 총점의 평균점수는 경증 8.1±4.2점, 중등도 9.2±6.5점, 중증 9.9±6.2점이었고, 11점 이상인 경우가 경증 9명(32.1%), 중등도 6명(30.0%), 중증 16명(30.8%)이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중 세 군 간에 PSQI, ESS 전체 점수의 평균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호흡-저호흡 지수의 심각도와 수면의 질 및 주간 졸림증과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4. PSQI 총점의 평균점수는 불면증 양성 환자군 12.0±3.6점, 불면증 음성 환자군 6.5±2.7점 이었다. ESS 총점의 평균점수는 불면증 양성 환자군 9.3±6.8점, 불면증 음성 환자군 9.2±5.5이었으며, 11점 이상인 경우가 불면증 양성 환자군은 7명(30.4%), 불면증 음성 환자군이 24명(30.8%)이었다. 주관적 불면증을 호소하였던 환자군의 PSQI 점수의 평균이 호소하지 않는 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ESS 점수의 평균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불면증 환자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마찬가지로 PSQI 점수의 평균이 유의하게 불면증 환자군에서 높았으며, ESS 점수의 평균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중에서 ESS 총 점수가 11점 이상인 환자군과 11점 미만인 환자군을 비교하였다. 11점 이상인 경우가 환자군은 31명(31.0%), 대조군이 10명(32.3%)이었다. PSQI 총점의 평균점수는 11점 이상 환자군 8.9±3.0점, 11점 미만 환자군 7.2±3.9점이었다. ESS 11점 이상 환자군이 11점 미만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PSQI 점수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불면증을 동반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의 PSQI 점수가 불면증을 동반하지 않은 환자 및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ESS 점수가 11점 이상으로 주간 졸림증을 보이는 환자군에서도 PSQI 점수가 의미있게 높았다. 따라서 불면증 및 주간 졸림증을 동반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PSQI는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설문 도구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7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4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