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 0

일차성 총담관결석의 임상적인 특성

Title
일차성 총담관결석의 임상적인 특성
Other Titl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Common Bile Duct Stones: 10 years experience
Author
유기덕
Alternative Author(s)
Ki Deok Yoo
Advisor(s)
최호순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및 목적 : 총담관결석 (common bile duct stone)은 병리생리에 따라서 일차성 총담관결석과 이차성 총담관결석으로 나눌 수 있다. 담석이 형성된 장소에 남아있는 경우를 일차성 담관결석 (primary bile duct stones)이라고 한다. 내시경 치료는 현재 총담관결석의 표준적인 치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적 합병증 중의 하나로 담관 결석의 재발이 보고 되고 있다. 재발성 총담관 결석의 위험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환자요인, 내시경적인 소견, 영상학적인 소견, 검사실 소견 등을 위험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보고마다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성 총담관결석의 특징과 내시경 치료 후 재발하는 일차성 총담관결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한양대학교병원에서 10년간 내시경역행췌담관조영술과 내시경으로 치료를 시행한 일차성 총담관결석 환자의 임상적 특징, 내시경적인 소견, 검사실 소견을 분석하였고, 내시경적인 치료를 시행하여 결석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담관 결석이 1회 재발한 환자와 다수 재발한 환자의 임상특성 및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4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일차성 총담관 결석으로 내시경적인 치료를 시행받은 49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493명의 환자는 재발성 담관 결석을 보인 90명과 재발이 없었던 403명으로 분류하였고, 담관 결석의 재발이 있었던 90명은 2회 이상 재발을 보였던 다발성 재발환자 22명과 한차례만 재발하였던 68명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특징, 내시경적인 소견, 영상학적인 소견, 검사실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493명의 일차성 총담관결석 환자의 평균 연령은 66.76 ± 13.827세였으며, 70대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남녀 비는 1: 1.125 이었다. 전체 환자 중 대도시 거주자의 비율이 63.3%였다 BMI는 22.952 ± 4.1983 였다. 담낭결석을 동반한 일차성 총담관결석 환자의 경우 ERCP를 통한 내시경 치료 이후에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일차성 총담관결석 환자 중 재발이 1회 이상 발생한 환자는 90명 (18.25%) 이었으며 평균 연령 68.28 ± 10.740, 남녀 비는 1:1.647 이었다. 재발성 담관 결석은 단변량분석에서 낮은 혈청 빌리루빈 수치, r-GTP 수치, GB status, 결석의 개수, 결석의 크기, 담관의 크기, 담관의 각도, EML 시행 유무, 담도기종 (pneumobilia)과 관련이 있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낮은 혈청 r-GTP, 담관의 크기, 결석의 개수, 담도기종의 유무가 재발성 담관결석의 위험인자였다. 무결석 담낭으로 담낭이 보전된 경우, 담관결석으로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에서 이전에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보다 재발의 위험도가 낮았다. 다발성 재발성 결석은 단변량분석에서 담도기종, 유두겉게실과 연관이 있었다. 그러나 다변량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담즙배양검사 결과 분석에서 재발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흔하지 않은 균의 배양이 더 많았고, 담즙배양 음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결론 : 일차성 총담관결석 환자는 고령에서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남녀 비는 1: 1.125 였다. 내시경적 치료 후 일차성 총담관결석의 재발과 관련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담관의 크기, 결석의 개수, 담도기종 (pneumobilia)의 유무였다. 다발성 재발환자와 1회 재발환자 사이에 담도기종, 유두곁게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을 보였으나, 다변량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7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2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