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0

프리프합 패션의 특성 연구

Title
프리프합 패션의 특성 연구
Author
김윤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14-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문화는 그 경계를 초월하여 다원화되고 모호해지는 시공간의 경계붕괴 현상을 보인다. 기존 개념이 다른 장르와 결합하여 또 다른 영역을 발생, 통용시키는 융합 현상 속에서 다양한 특성들이 공존하며 이는 다원화된 특성으로 나타난다. 패션에서도 기존의 개념과 영역들이 모호해지거나 사라지고, 혹은 다원화되거나 새로운 패션 현상이 생성되는 등의 융합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사회 문화 속 패션의 융합으로 발생한 대표적인 장르로 프리프합 패션이 있다. 힙합패션과 프레피 룩의 융합을 통해 새롭게 생성된 장르인 프리프합 패션은 최근 패션 경향 중 가장 특징적인 장르로서 힙합 패션에 그 근원을 둔다. 이에 본 연구는 힙합 패션의 발전과정에 따른 고찰 및 프레피 룩의 분석을 통해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특성이 융합되어 새롭게 발생한 프리프합 패션의 형태적 특성과 내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각기 다른 장르의 패션이 다양한 융합 현상을 통해 새로운 장르로 발생되고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끊임없는 융합을 통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현대 패션의 형성과정과 현상을 고찰함으로써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근원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의 범위는 남성복으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힙합 패션, 프레피 룩과 융합 관련 분야의 서적, 논문, 시사지, 인터넷 자료 등의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를 위한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2008년부터 2014년 봄까지 6년간의 프리프합 패션의 시각적 자료를 미국의 대표 힙합전문 매거진 XXL(www.xxlmag.com), COMPLEX(www.complex.com)에서 수집한 뒤 이에 관한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류하여 고찰한 결과 프리프합 패션의 아이템과 실루엣, 컬러, 소재와 문양, 액세서리로 통한 형태적 특성과 이를 근거로 정통성, 저항성, 유희성, 여성성의 내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프리프합 패션의 형태적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프합 패션은 아이템과 실루엣을 통해 슬림하며 캐주얼한 세련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아이템은 재킷, 셔츠, 팬츠로 구분되며 프레피 룩과 비슷한 구성을 보이나, 보수적이 아닌 캐주얼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실루엣은 매우 슬림한 핏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프리프합 패션의 대표적인 특성이자 내적 특성인 양성성 발생 배경이다. 짧은 길이, 타이트한 핏과 짧은 소매로 구성된 재킷은 소재와 문양, 컬러를 획일적이지 않고 개성있게 사용함으로써 캐주얼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나타냈다. 셔츠는 다양한 패턴을 사용하여 다양성과 장식성을 추구하였으며, 팬츠는 매우 슬림하여 발목이 드러나는 짧은 길이를 보였다. 이는 기존 패션의 보수적 성향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둘째, 프리프합의 컬러는 프레피 룩과 힙합 패션에서 사용되는 베이직 컬러들이 종합적으로 나타났다. 브라운 계열의 얼스 톤과 카키, 네이비, 레드, 베이지, 화이트 등과 강렬한 원색 컬러 및 네오 프레피 룩의 핑크, 그린과 같은 팝 컬러들이 추가되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각 장르의 컬러 조합으로 새롭게 생성된 미적 의미는 융합되기 이전의 장르와는 다른 프리프합 패션만의 독창적인 이미지를 가진다. 셋째, 소재와 문양은 현대 패션에서 감성적 욕구 충족을 위한 개성적인 표현 방법으로 나타났다. 힙합 패션의 정통적 문양인 카무플라주와 프레피 룩의 올 오버 패턴과 체크는 프리프합 패션에서 연속성을 가지며 나타났고, 각 장르 문양의 혼합사용을 통해 새로운 형식을 구성하였다. 소재의 경우 각 장르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소재와 함께,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소재 사용의 확장으로 기성 패션다운 면모를 갖추었다. 넷째, 액세서리는 보우 타이, 스냅 백 모자, 캥골 모자, 커다란 골드 주얼리, 스니커즈, 커다란 안경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대체로 힙합 패션에서 사용된 것들이다. 힙합 패션에서 사용하던 액세서리의 사용은 프리프합 패션에서 큰 비중으로 나타나는 프레피 룩 아이템에 대하여 비주류적 성격을 지키고자 하는 힙합 패션의 배타성이 반영되어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프리프합 패션의 형태적 특징은 몰개성적 현대 패션에 대한 개성을 추구하는 것이며, 하위문화 패션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독창적이고 세련되게 표현하였다. 프리프합 패션에서 도출된 내적 특성은 정통성(33.9%), 저항성(28.0%), 유희성(21.3%), 양성성(16.8%)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프합 패션에서의 정통성은 보수적 프레피 룩과 정제미로 변화된 힙합의 일탈성이 융합을 통해 새롭게 발생된 프리프합 패션만이 가지는 개성있고 세련된 특성으로, 형태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융합 전 두 장르에서 각기 다르게 보여졌던 정통성은 프리프합 패션에서 모두 표현되지는 않았다. 이는 융합을 통해 상위문화와 하위문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켰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프리프합 패션의 정통성의 표현은 프레피 룩 수트의 활용으로 두드러졌으며, 힙합 패션의 패턴과 디테일 및 액세서리 등 장식적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여졌다. 열린 개념을 통한 다양성의 추구는 상반되는 문화의 패션 아이템들의 절충을 통해 새로운 룩(look)을 발생시키고 이에 근원이 되는 새로운 가치의 정통성을 생성한다. 둘째, 프리프합 패션에서 저항성은 일반적인 주체들과의 구분을 위해 차별성을 부여하고, 정체성 표현을 위해 의도적으로 이전의 보수적이고 저항적인 착장 규범과는 다른 개성 표현을 하였다. 직접적인 저항이 아닌 이미지를 통하여 보수적인 스타일에 대한 규범체제를 와해시키고자 하고 있다. 프리프합 패션은 아이템 구성에 따른 착장 방식과 문양의 사용 등을 통해 일반적 착장 규범에 반하는 저항성을 표현하였다. 강한 배타적 표현보다는 저항의 이미지를 추구하고 개성을 표현하였으며, 혼합·매치를 활용한 이미지의 확장을 통하여 절충적인 현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리프합 패션에서의 유희성은 현대 패션에서 중요시하는 감성 추구를 통해 즐거움의 요소를 발견하고 정신적 위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장르 간 융합을 통해 관습적 사고방식을 탈피하여 즐거움을 얻는 것으로 심각하지 않으며, 비주류 패션의 확장을 일으킴으로서 의외성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유희적 감성과 무한한 창의적 발상을 유도하는 감성 지향적 성향을 보인다. 넷째, 프리프합 패션에서 보여지는 양성성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융합을 통한 이분법적 탈피로 표현되었다. 프리프합 패션은 남성성을 의미하는 수트에 여성성이 연상되는 슬림 핏을 함께 수용하여 남성성이나 여성성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공유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성의 사회적 가치 부상이 배경이 된 것이다. 프리프합 패션에서 양성성은 단순히 두 성을 혼합하여 표현하는 것은 아니며 강조, 변형, 혼합, 축소 등을 통하여 디자인적인 발전을 나타내었으며, 창조적 감성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장르의 패션이 융합되어 새롭게 발생한 프리프합 패션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형태적 특성과 내적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융합 현상의 과정과 이를 통해 생성되는 새로운 장르에 대한 연구 근거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프리프합 패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장르에 대한 국내 패션 디자인의 학문적 발전과 디자인의 글로벌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프리프합 패션 관련 사례들의 분석에 있어서 기존의 선행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7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54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