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7 0

다중지능이론으로 재해석한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

Title
다중지능이론으로 재해석한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
Other Titles
Mozart's Opera 《The Magic Flute》 a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Educational Experiences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Author
황경숙
Alternative Author(s)
Hwang, Kyung Sook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 문 요 지 본 논문은 종합예술의 집약체인 오페라 ⟪마술피리⟫를 초등학생에게 적합하게 수업 설계(Instructional Design)하여 음악적 지능 계발과 그 외의 교육적 경험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1943-)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과 이에 입각한 대표적인 예술 교육 프로그램인 아트 프로펠(Arts Propel)의 이론에 따라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아이들의 음악적 지능과 더불어 창의성을 계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오페라 수업을 통한 변화들을 혼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했으며 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MI 이론을 적용한 초등학생 오페라 《마술피리》 수업은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가? 2) 오페라 《마술피리》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은 무엇인가? 3) 오페라 《마술피리》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음악 영역과 MI 에 어떠한 영향 을 주었는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프로그램 설계 방향으로는 다음을 고려하였다. 첫째, 대상의 학습 수준을 고려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만화영화 같은 도구를 사용하도록 했다. 약 2시간 20여분 정도의 원곡 오페라 《마술피리》가 초등학생에게는 너무 지루한 시간이 될 수도 있어, 연구자의 수업 설계에서는 약 30분 정도의 만화영화 《마술피리》를 보여주는 시간을 가졌고, 원곡 오페라는 유명한 장면 위주로 보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무대의상이나 포스터, 초대장 만들기의 경우는 합리적인 시간 사용을 위해 부직포, 두꺼운 도화지와 학용품을 미리 준비해 놓았다. 셋째, 음악적 지능 외에 다양한 MI 이론의 수업 형태 제시를 위해 매 차시 마다 여러 가지 활동을 준비했다. 넷째, 학생들의 흥미를 위한 수업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에 초점을 두었다. 초등학생의 집중 시간도 고려하였다. 다섯째, 개인 레슨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이러한 수업 설계 방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7차시로 구성된 수업을 설계하였고, 8명의 초등학생이 참여하는 수업을 7주에 걸쳐 실행하였으며, 6차시에는 실제 오페라를 공연하도록 계획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와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 방법으로서 MI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방법으로는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MI 사전 사후 검사결과에 따르면, 오페라 수업 설계의 현장 적용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마다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여러 지능들의 영역이 균형 있게 발달하거나 특정한 지능이 부각되는 경우들도 나타났다. 질적 연구방법의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 상당수가 음악에 흥미를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 음악을 즐기는 효과도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연구 참여자 4명은 자신에게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음악적인 재능이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는 경험을 했다. 또한 8명 중 2명은 장래 희망이 음악인으로 변경되는 놀라운 경우도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에게 적합하도록 《마술피리》 오페라 수업설계를 아트 프로펠 이론에 충실하게 적용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학교 음악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적합하게 적용되거나, 시사점을 줄 수 있도록 학교 음악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수업목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실용성 있는 평가방법 및 교수지침 사항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므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매 차시마다 학생들이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하였는지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었다. 넷째, MI 사전 사후 검사에 있어 학년별 및 연령별이 아니라 연구 참여자의 한글능력을 고려하여 검사도구의 수준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가드너의 핵심적 교육 이념인 ‘예술적 체험’과 개개인의 음악적 재능의 역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가 초등음악교육 관련 교사들에게 음악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학습지도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이러한 MI 와 연계된 수업 설계가 앞으로의 음악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만족하고, 부족한 점을 더 보완하여 MI 이론이 적용되는 음악 수업 프로그램 개발이 더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916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08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