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 0

코어운동이 복부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및 체간 근 횡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Title
코어운동이 복부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및 체간 근 횡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Cor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and Trunk Muscle Cross Sectional Area for Central Obese Women
Author
이한웅
Alternative Author(s)
Lee, Han-Woong
Advisor(s)
김찬회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출산경험(경산포함)이 있는 30~40대 복부비만여성 21명(대조군 7명, 코어운동군 7명, 체간의 회전과 복부 및 배부근력 강화 운동이 혼합된 기능성 코어 강화 인터벌 순환운동군 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코어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코어운동의 형태에 따라 이들의 신체조성,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체간 근 횡단면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코어운동이 복부비만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해 봄과 동시에 향후 복부비만자를 위한 운동처방 시, 효율적이고 다양한 운동형태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측정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차이검증을 위해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집단과 시기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는 two-way ANOVA를, 교호작용이나 주효과가 유의한 경우, 집단 간 차이검증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가 유의할 경우, tukey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내 시기에 대한 주효과검증 및 사후검증은 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구성 체중, BMI, %BF, WHR은 모두 집단과 시기에 대한 교호작용(p<.01, p<.01, p<.05, p<.01)과 시기에 대한 주효과(p<.01, p<.01, p<.01, p<.05)를 나타내었고 BMR은 집단과 시기에 대한 교호작용(p<.01)을 나타냈으며 LBM은 교호작용 및 주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개별분석결과, 시기별 집단 간 변화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시기 간 변화에 있어서 사전대비 운동 12주 후, 각각 코어운동군은 체중(p<.05), BMI(p<.01), %BF(p<.01), WHR(p<.05)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순환운동군은 체중(p<.05), BMI(p<.05), %BF(p<.01)의 유의한 감소와 BMR(p<.05)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허리둘레, TG, LDL-C, 복부 총 단면적,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단면적은 모두 집단과 시기에 대한 교호작용(p<.001, p<.05, p<.001, p<.01, p<.05, p<.001)과 시기에 대한 주효과(p<.001, p<.01, p<.01, p<.001, p<.001, p<.01)를 나타내었고 TC는 집단과 시기에 대한 교호작용(p<.01)을 나타내었으며 확장기혈압은 집단에 대한 주효과(p<.05)만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축기혈압, HDL-C, 혈당, 인슐린, HOMA-IR지수의 경우에는 집단과 시기에 대한 교호작용이나 주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개별분석결과, 복부지방 총 단면적은 운동 12주 후에 대한 집단 간 유의차(p<.05)가 발생되었으며 사후검증결과, 코어운동군이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p<.05)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복부지방 총 단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은 시기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집단별 시기 간 변화에 있어서 사전대비 운동 12주 후, 각각 코어운동군은 허리둘레(p<.001), TG(p<.01), LDL-C(p<.01), 복부지방 총 단면적(p<.05), 피하지방(p<.01) 및 내장지방단면적(p<.01)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순환운동군은 허리둘레(p<.01), 수축기혈압(p<.05), 복부지방 총 단면적(p<.05), 피하지방(p<.05) 및 내장지방단면적(p<.01)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체간 근 횡단면적 운동에 따른 체간 근 횡단면적의 변화에 있어서 대요근, 다열근, 척추기립근단면적은 모두 집단과 시기에 대한 교호작용(p<.001, p<.001, p<.01)과 시기에 대한 주효과(p<.01, p<.01, p<.05)를 나타내었다. 개별분석결과, 집단 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시기 간의 변화에 있어서 각각 코어운동군은 사전에 비해 12주 후, 대요근(p<.01), 다열근(p<.05), 척추기립근(p<.05)단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순환운동군은 대요근(p<.05), 다열근(p<.01)단면적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12주의 규칙적인 코어운동과 코어 강화 기능성 인터벌 순환운동은 각각 복부비만여성의 신체구성,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 및 체간 근 횡단면적의 개선효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나, 복부비만의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운동방법으로 제시하고자하며 추후에는 식이의 질에 대한 보다 철저한 중재를 비롯하여 성별, 연령, 비만도, 운동의 강도 및 빈도, 지속시간 등의 방법을 다양하게 고려한 후속적 접근이 보다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0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6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PORTS & WELL-BEING(생활스포츠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