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8 0

대량수혈을 일으키는 선택수술과 외상으로 인한 대량출혈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혈액제재 소생에 관한 연구

Title
대량수혈을 일으키는 선택수술과 외상으로 인한 대량출혈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혈액제재 소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Hemostatic resuscitation in elective surgery causing massive transfusion and traumatic massive bleeding : A computer simulation
Author
이영선
Advisor(s)
전종헌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현재까지 많은 논문들에서 대량수혈 시의 희석응고장애를 막기 위한 농축적혈구, 혈소판, 신선동결혈장의 투여 시점과 비율에 관하여 다루어 졌으나 대량출혈 자체가 매우 위험하고 상황이 복잡해서 근거 있는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우리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택수술에서의 대량출혈과 외상으로 인한 대량출혈에서의 수혈을 비교하여 보았다. Hirshberg등의 minimizing dilutional coagulopathy in exsanguinating hemorrhage:acomputer simulation에서 사용한 혈역학적 모델을 변형시키고 대한적십자사 혈액원 품질관리 자료의 혈액 성분제제 자료를 적용시켰다. 또한 환자의 헤마토크릿, 혈액희석, 혈소판수 등을 계산하는 혈역학적 복합 모델을 변형하여 만들어 보았다. 환자는 헤마토크릿 42%, 피브리노겐 수치 3 g/L, 혈소판수 230,000 /μL의 70 kg 남성이고 혈액량은 4900 ml로 정하였다. 선택수술 출혈 모델에서는 분당 50 ml로 계속 출혈하는 상황을 가정하였고, 헤마토크릿 27%가 되면 농축적혈구를 10분에 걸쳐 수혈하고, 혈액희석이 30% 혹은 피브리노겐 수치가 0.8 g/L이하가 되면 신선동결혈장을 수혈하고, 혈소판수가 50,000 /μL 이하가 되면 혈소판을 자동으로 주도록 하여 들어가는 시간과 투여되는 성분제재의 비율을 비교하여 보았다. 외상출혈 모델에서는 환자는 같고, 외상을 입은후 분당 50 ml의 출혈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출혈이 지속되면서 혈압이 떨어지고 분당 출혈량은 감소하도록 하였다. 30분 후 응급실에 도착하고 그후에는 수액을 빠른 속도로 주기 시작하고, 출혈 50분이 지난 후부터는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 혈소판을 정해진 수치가 되면 줄 수 있도록 하고 분당 50 ml의 출혈은 계속 지속하는 상황으로 설정하였다. 선택수술 출혈 모델에서 농축적혈구는 수술후 43분, 혈액량의 0.44배 출혈 때 투여되기 시작하였고, 신선동결혈장은 수술후 164분, 혈액량의 1.67배 출혈 때 투여되기 시작하였다. 농축적혈구와 신선동결혈장은 1: 0.47개의 비율로 투여되었다. 혈소판은 수술후 219분, 혈액량의 2.24배 출혈 때 투여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적혈구, 신선동결혈장, 혈소판의 비율은 1: 0.35: 0.39개의 비율로 투여되었다. 외상출혈 모델에서는 초기 30분동안 1175 ml를 출혈하고 수축기혈압은84 mmHg까지 떨어졌다. 농축적혈구는 응급실 도착 20분 후부터 줄 수 있도록 설정하였고농축적혈구는 51.7분, 혈액량의 0.42배 출혈 때 투여되기 시작하였다. 신선동결혈장은 170분, 혈액량의 1.63배 출혈 때 투여되기 시작하였으며혈소판은 225분, 혈액량의 2.20배 출혈 때 투여되기 시작하였다. 각각의 혈액이투여되는 비율은 선택수술 출혈 모델에서와 같았다. 이 연구 결과 농축적혈구와 신선동결혈장을 같이 수혈할 경우 농축적혈구 1개당 신선동결혈장0.47개가 투여되어야 하며, 출혈이 지속되어 농축적혈구, 신선동결혈장, 혈소판을 동시에 수혈할 경우 농축적혈구 1개당 신선동결혈장 0.35개, 혈소판 0.39개가투여 되어야 희석 응고장애를 막을 수 있다고 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6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2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