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 0

지질다당질로 유도된 생쥐 방광염 모델에서 대두발효추출물이 염증반응과 종양괴사인자-알파에 미치는 효과

Title
지질다당질로 유도된 생쥐 방광염 모델에서 대두발효추출물이 염증반응과 종양괴사인자-알파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ybean Fermentation Extracts on Inflammatory Reaction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a Mouse Model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Cystitis
Author
윤현석
Alternative Author(s)
Hyunsuk Yoon
Advisor(s)
김용태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연구의 목적: 최근 재발성 방광염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두발효추출물의 방광염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장균 지질다당체(Escherichia coli Lipopolysaccaride, LPS)의 방광 내 주입으로 유도된 생쥐 방광염 모델에서 병리조직검사와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인터류킨-18(interleukin-18, IL-18)의 분석을 해 보았다. 연구방법: 실험군(n=12)은 5μL/g의 대두발효추출물을 10일 동안 경구로 투여한 뒤 LPS 5μL/g를 방광 내에 주입하였다. 24시간 후 방광 조직을 채취하여 hematoxylin-eosin (H-E) 염색 후 통하여 방광 조직의 염증 양상을 점수화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면역염색을 통하여 TNF-α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다중 사이토카인 분석(Multiplex Cytokine Assay)을 통해 TNF-α와 IL-18 농도를 분석하고, 대조군(n=3) 및 방광염을 유발한 sham군(n=12)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H-E 염색 결과 대조군의 방광염증지수는 0.2±0.3점이었다. sham군의 방광염증지수는 2.7±0.5점이었다. 실험군의 방광염증지수는 1.1±0.7점이었다. 대조군은 sham군, 실험군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Mann-Whitney Test, p-value=0.004, 0.018), sham군은 실험군보다 높은 방광염증지수를 나타냈다(p-value<0.001). 면역염색 결과 염증 반응이 관찰되었던 부위에서 TNF-α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NF-α 사이토카인 분석 결과 대조군에서는 1.3±0.3pg/mg, sham군에서 2.8±1.0pg/mg, 그리고 실험군에서 1.6±0.2pg/mg이었다. 대조군과 sham군 사이, 그리고 sham군과 실험군 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value=0.024, 0.004). IL-18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대두발효추출물의 예방적 경구 투여는 LPS로 유발한 생쥐 방광염 모델에서 방광 조직 내의 염증반응과 TNF-α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향성을 보였다. 임상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그 기전에 대한 분석과 적절한 용량 및 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6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6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