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0

Angelin Preljocaj의 작품에 나타나는 콜라보레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

Title
Angelin Preljocaj의 작품에 나타나는 콜라보레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llaboration Phenomenon in the works of Angelin Preljocaj
Author
노신영
Alternative Author(s)
Noh, Shin Young
Advisor(s)
문영철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앙쥴랭 프렐조카주의 작품 『Snow White』에 내재되어 있는 콜라보레이션 특징들을 분석하여 현재 무용예술의 트렌드 중의 하나인 콜라보레이션 현상의 특성을 파악하고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무용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찾고 창작 작업의 활성화를 이루는 하나의 방안인 콜라보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후기 산업사회에서 정보화시대를 거쳐 지식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산업의 문화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상상력과 창의력, 감성을 중시하는 사회로 변모하고 있으며 대중화된 문화에서 탈피하려는 욕구가 상승하고 예술 분야가 복합화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의하여 콜라보레이션은 등장하고 급속도로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변화에 따른 예술의 변화는 당연한 것이다. 특히 무용은 원시시대부터 꾸준히 당대의 미적관점을 반영하며 변화되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은 무용에서도 등장하게 되었고, 타 예술 분야인 건축, 패션, 음악 등과의 콜라보레이션 작업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무용예술장르 내에서도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무용예술은 틀에 박힌 사고에서 벗어나 창작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또한 타 장르와의 협업으로 인하여 무용예술의 진정한 가치를 나타내면서 관객을 공연장으로 모으는 효과와 함께 움직임을 통한 언어의 제한적인 표현적 특성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매개체를 활용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움직이는 몸에 관한 집중을 다양한 오브제의 활용과 타 예술과의 콜라보레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통의 경계를 허무는 안무 스타일로 미래 춤의 향방을 제시하고자 하는 앙쥴랭 프렐조카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앙쥴랭 프렐조카주의 수 많은 작품 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 공연되었으며 콜라보레이션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Snow White』를 선정하여 콜라보레이션의 시대적 배경과 문화적 현상을 토대로 안무가의 생애와 주요작품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Snow White』작품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앙쥴랭 프렐조카주의 『Snow White』에 나타나는 콜라보레이션의 특성으로는 첫째, 패션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디자이너 장 폴 고티에는 안무가인 앙쥴랭 프렐조카주의 의도에 부합하여 등장인물의 성향을 돋보이게 하는 무대의상을 제작하여 작품의 인물들에게 개성을 부여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음악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동화를 소재로 한 발레와는 접점을 찾을 수 없는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을 전체 공연에 사용하였는데 말러의 웅장한 교향곡들을 세심하게 편집하고 전자 음향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콜라보레이션 효과를 극대화시켜 고전 교향곡을 현대적 음악의 변용으로 다가가 고전과 현대의 조화를 교묘하게 이루어내고 있다. 셋째, 무대장치를 이용한 콜라보레이션이다. 무대 위에 벽을 설치하여 와이어를 타고 다니며 서커스 장의 쇼처럼 진행되는 모습은 춤의 경계를 무한히 열고 있으며 인간 신체가 보여줄 수 있는 움직임의 영역을 확대시켜 아름답게 펼쳐 보이고 있다. 작품의 분석을 통해 콜라보레이션은 궁극적 목적이 아닌 공동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공연예술의 효과적인 수단임을 인식하며 무용예술의 창조적인 창작 인프라 구축 및 무용공연의 창작 활성화를 위한 작업 방안임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무용공연이 대중적 저변확대와 다원적 접근 방식을 통하여 관습의 틀에서 탈피함으로써 관객의 부재와 창작성의 부재를 갖고 있는 현대의 무용공연예술이 콜라보레이션을 통하여 새로운 무용공연형식을 만들어내고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1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9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