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고설-
dc.date.accessioned2020-02-18T16:35:44Z-
dc.date.available2020-02-18T16:35:44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709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986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어린이 교육용 앱북의 여러 가지 형태와 유형에 따라 동화책으로 학습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스토리에 학습정보를 녹이고 이미지, 텍스트 등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를 적절히 조화시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앱북의 형태는 어린이의 흥미와 재미를 우선으로 하여 학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자칫 학습의 목적이 불분명해지고 단순히 재미만을 위해 게임 기능에만 몰두하는 현상을 불러일으키기 쉽다. 또,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앱북으로 제작되었으나 학습하고자하는 책의 기능 보다 타 컨텐츠의 비중이 커져버리는 탓에 한 번만 해보고 흥미를 잃어 다시 반복학습이 불가능한 일회성 컨텐츠가 되어버리기 쉽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되고 있는 교육용 앱북 형태를 각 컨텐츠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유형에 따라 어린이에게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앱북 형태에 따라 각 컨텐츠의 유형은 다르나 이를 구분하지 않고 똑같은 기능, 비슷한 디자인, 상호작용으로 제작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각각 유형에 맞는 컨텐츠의 제작 방향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며, 어린이를 위한 교육용 앱북 컨텐츠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앱북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 어린이의 발달 및 인지에 대한 단계 별 특성을 이해하고, 앱북의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려 어린이 앱북 컨텐츠에 대한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디자인 요소는 시각적 요소, 청각적 요소, 상호작용 요소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분석하고자 하는 앱북 컨텐츠 유형은 간접 체험, 미션 수행, 아이템 수집, 소품 제작, 지시 실행으로 5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 별로 디자인 요소에 따른 사례 분석과 평가가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유형 별 앱북 컨텐츠를 체험 후 설문을 통해 결과를 점수화하여 나타냈다. 유형에 따른 분석 및 평가 결과로 영역 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 체험 유형은 시각적 요소>청각적 요소>상호작용 요소 순으로, 시각적 요소 중 이미지 애니메이션을 통한 장면 해석 부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둘째, 미션 수행 유형은 시각적 요소>청각적 요소>상호작용 요소 순으로, 시각적 요소 중 이미지 애니메이션을 통한 이야기 전체 흐름에 대한 이해 부분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셋째, 아이템 수집 유형은 청각적 요소>시각적 요소>상호작용 요소 순으로, 청각적 요소 중 캐릭터의 대화를 통한 장면 이해 부분이 두드러졌다. 넷째, 소품 제작 유형은 시각적 요소>청각적 요소>상호작용 요소 순으로, 시각적 요소 중 이미지 애니메이션을 통한 장면 해석 부분이 두드러졌다. 마지막 지시 실행 유형은 시각적 요소>상호작용 요소>청각적 요소 순으로, 시각적 요소 중 장면 해석과 캐릭터에 대한 이해 부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각 유형에 따른 디자인 요소에 따라 컨텐츠 구성의 비중이 차지하고 있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향후 본 연구가 어린이 교육용 앱북 컨텐츠 제작에 있어 시각적, 청각적, 상호작용 요소에 대한 컨텐츠 구성에 대한 디자인 방향의 토대가 되길 바라며, 앱북 컨텐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천적인 바탕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학습을 위한 교육용 앱북 디자인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utility of Educational App Book Design for learni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고설-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o, Seol-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디자인학부-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영상디자인-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