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중진-
dc.contributor.author공정건-
dc.date.accessioned2020-02-18T16:35:32Z-
dc.date.available2020-02-18T16:35:32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99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361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에 존재하는 다의적 사자성어를 선정하여 사전적 해석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들의 유래와 의미적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사자성어는 대부분이 중국에서 차용되어 중국 사자성어와 의미상 비슷하지만 오래 동안 한국의 사회 환경이나 역사 발전에 따라 한국의 특유한 의미가 파생된 경우도 많다. 이런 다의적 사자성어가 의미상 차이로 인해 한국 사람과 중국 사람이 교류할 때 의사소통상 장애를 빈번하게 일으킨다. 따라서 한중 다의적 사자성어에 대한 의미적 차이를 연구하는 것이 담화나 읽기를 원만하게 진행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성어의 사전적 개념과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자성어란 한자어 네 개를 엮어 하나의 관용어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자성어는 고사를 배경으로 하는 것, 성구나 격언의 성격을 갖추고 있는 것 등을 포함한다. 짧은 네 글자 속에 옛사람의 풍부한 생활 체험이나 인생의 지혜를 함축해서 담고 있는 것이 사자성어의 보편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한중 다의적 사자성어의 대조 양상을 유형별로 나눠 분석했다. 이것을 통해 한국 다의적 사자성어의 다의성 양상, 즉 이중 다의어부터 오중 다의어까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한중 다의적 사자성어의 의미적 차이를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한중 다의적 사자성어 대조를 통해 의미상 무관한 유형, 의미상 교차한 유형, 의미상 일치한 유형을 발견했다. 본고는 한중 다의적 사자성어가 의미상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생과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 모두에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언급하지 못한 문제를 앞으로의 연구에서 심도 있게 기술하도록 하겠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다의적 사자성어의 한·중 대조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s polysemantic Four-Character idiom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공정건-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Gong, Zheng Qi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어학-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