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4 0

김광균 시 연구

Title
김광균 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Kim, Kwang-Kyun's poem : Focused on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Images
Author
정애진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문요지 김광균에 대한 논의는 193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하여 여러 차례 진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김광균을 한국 시단의 대표적 모더니스트로서 위치 짓고, 모더니즘 사조와 관련한 구조, 주제의식 등에 집중하여 그의 작품을 논하였다. 특히 작품의 주된 특징 중 하나인, 이미지즘을 통한 회화성과 조형성의 구축을 모더니즘의 성공적인 측면으로서 높이 평가하는 논의들이 많았다. 반면 그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감상성’을 두고 부정적인 목소리를 높이는 연구자들도 적지 않았다. 그의 시에서 애상, 우울, 고독 등으로 점철되어 나타나는 주관적 감상성이 반낭만주의적 태도를 견지했던 영미 이미지즘에 반한다는 지적이 있었던 것이다. 때문에 그는 ‘실패한 모더니스트’로서 여러 번 이야기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김광균의 작품은 체험에 입각한 주관적 비애의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 모더니즘과는 다른 독특한 지점을 갖는다. 서구 모더니즘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한국 시단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는 논리 또한 괴리가 있다. 본 논문은 이 점에 주목해 ‘정서’라는 초점을 통해 그의 시에서 드러나는 ‘감상성’을 체험의 시학으로서 새롭게 살펴보고자했다. Ⅱ장에서는 김광균의 생애를 되짚어보고 그 속에서 시적 정서의 기원이 되는 전기적 체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로는 가족과 동료들의 죽음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이미 누나,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바 있다. 이후 어머니, 누이, 동료들의 죽음과 차례로 맞닥뜨리면서 엄청난 상실감을 얻게 되었고, 이로 인한 정신적 외상은 그의 시 전반에 애상적 정조를 짙게 드리우는 역할을 했다. 둘째로는 고향상실의 아픔을 이야기할 수 있다. 김광균은 고향을 떠나 군산, 서울 등의 도시에서 생활하면서 고립감과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는 삭막한 도시의 일상 속에서 벗어나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바람을 다수의 시 속에 투영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살펴본 생애 속 정서의 기원과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파생된 상실감, 그리움, 고독, 비애 등의 정서를. 그리고 이러한 정서들이 ‘안개’, ‘꽃’, ‘기차’, ‘항구’, ‘황혼’, ‘등불’, ‘눈’ 등의 이미지를 통해 어떻게 발현되는지 그 구체적 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안개’와 ‘꽃’은 떠나간 주변 사람들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키면서 상실감을 불러일으킨다. ‘기차’와 ‘항구’는 ‘여행’의 이미지를 내포하면서 현재의 도시를 떠나 과거의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망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출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황혼’과 ‘등불’, ‘눈’은 저물어가는 세월 속에서 느끼는 삶의 고독과 비애를 그려낸다. 살펴보았듯 그의 작품에서 쓰이는 대표적 이미지들은 전기적 체험으로부터 빚어진 상실감, 그리움, 비애 등의 정서를 공유하고 있으며, 각각의 이미지는 특유의 속성과 그 구체적 심상을 통해 전체 작품을 효과적으로 아우르고 있다. 따라서 그의 시에서 드러나는 감상성은 모더니즘의 실패가 아닌, 체험에 입각한 정서의 산물로 보는 편이 더 적절하다. 본 논문은 ‘정서’라는 초점을 통해 김광균의 전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전기시편에 국한되어 있는 논의를 후기 시편에까지 넓히는 작업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거론되지 않은 다수의 작품들 또한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다. 또한 ‘감상성’과 관련하여 모더니즘의 한계와 연관시키는 논의들을 넘어, 전통적 서정이 내포하는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주제어 : 김광균, 모더니즘, 이미지, 정서, 감상성, 죽음, 도시, 고향, 상실감, 그리움, 고독, 비애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9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3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