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2 0

한국인 고요산혈증의 전장유전체 연관성 연구

Title
한국인 고요산혈증의 전장유전체 연관성 연구
Other Title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hyperuricemia in a Community-based Korean Cohort
Author
손창남
Alternative Author(s)
Son, Chang-Nam
Advisor(s)
전재범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배경 및 목적: 고요산혈증은 통풍의 중요한 원인이고, 고혈압, 대사증후군, 당뇨, 심혈관 질환 등의 다양한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고요산혈증의 발생에는 유전적, 환경적인 요인이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며, 최근에 요산의 재흡수와 배출을 조절하는 요산전달체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전장유전체 연관성 분석연구(genome-wide association study,GWAS)를 통해 요산전달체에서 고요산혈증 및 통풍과의 연관성을 보이는 위험유전인자들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요산조절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건강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국립보건원 유전역학코호트의 역학 자료 및 GWAS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요산혈증과 연관된 새로운 유전자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 대상: 국립보건연구원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농촌기반 코호트에서 분양받은 3,667명의 역학정보와 Illumina Omni1 플랫폼으로 만들어진 유전정보를 사용하였다. 이 유전체 코호트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암 총 6가지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대상자들로 구성되었다. 이중 역학정보가 없거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4 mg/dL이상인 대상자를 제외하고 총 3,6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방법: 혈중요산농도가 7 mg/dL이상을 고요산혈증으로 정의하였고, 고요산혈증을 가진 그룹과 대조군(혈중요산농도 < 7 mg/dL)을 비교하였다. 요산과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 임상 정보 (나이, 성별, 음주 유무, 음주량, 흡연여부, 키, 몸무게, 혈압)와 혈액검사 (혈당, 콜레스테롤, 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요산)를 가지고 고요산혈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두 군간의 차이를 보이는 새로운 유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결과 다변량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한국인에서 남성인 경우(OR 5.526, P = 3.2 x 10-10),나이가 많을수록 (OR 1.017, P = 0.04),체질량 지수가 증가할수록 (OR 1.147, P = 5.4 x 10-7),현재 음주를 하는 경우 (OR 2.431, P = 4.7 x 10-7),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증가할수록 (OR 1.647, P = 1.6 x 10-13)고요산혈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임상변수들을 보정하여 6번 염색체의 ABCG2유전자에 속한 한 단일염기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rs2054576이 고요산혈증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OR 1.883, P = 4.7 x 10-8). 결론 우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전장유전체 연관연구에서 고요산혈증과 관련된 새로운SNP, rs2054576 (ABCG2)를 발굴하였다. ABCG2는 신장, 위장관, 간에서 요산의 배출을 조절하는 요산전달체이다. 이 연구는 향후 다른 한국인 대상자와 다른 인종들에서 유전자 기능연구와 복제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86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90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