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 0

Platelet Function Analyzer (PFA-100)의 폐색시간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연구

Title
Platelet Function Analyzer (PFA-100)의 폐색시간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연구
Author
김기나
Alternative Author(s)
Ki Na Kim
Advisor(s)
이웅수
Issue Date
2016-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배경: Platelet Function Analyzer-100 (PFA-100, Siemens Diagnostics, Marburg, Germany)은 일차지혈과정을 평가하는 장비이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PFA-100의 폐색시간(closure time, CT)값에 영향을 미치는 걸로 알려져 있는 인자와 CT값과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고 또 다른 변수들과의 연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한 사람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PFA-100의 CT값을 확인하고 정상군과 연장군으로 나누어 변수들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측정변수는 연령, 성별, 혈액형, 헤마토크리트, 적혈구 크기 분포, 혈소판 수, 평균 혈소판 용적, 혈소판 분포폭, 적혈구침강속도, 요비중이었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수들과 CT값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PFA-100 CT가 유의하게 연장되었다(P=0.010). 또한 헤마토크리트가 낮을수록 PFA-100 CT가 유의하게 연장되었다(P=0.032). 성별과 혈액형은 CT값과 상관관계가 없었다(각각 P=0.947,0.737). RDW, ESR과 같은 적혈구관련 변수들과 PLT 수, MPV, PDW와 같은 혈소판 관련 변수들, 그리고 요비중도 CT값과 상관관계가 없었다(각각 P=0.338,0.773,0.104,0.279,0.425, 0.263). 결론: 본 연구에서 PFA-100의 폐색시간이 기존에 널리 알려져 있던 간섭변수인 헤마토크리트와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혈소판 수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였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도 차이가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8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12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