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성금-
dc.contributor.author강은일-
dc.date.accessioned2020-02-18T16:33:33Z-
dc.date.available2020-02-18T16:33:33Z-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680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8652en_US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여창가곡 15곡을 대상으로 가곡에서 나타나는 노래․해금․거문고선율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세 선율의 역할과 특성을 고찰 하였다. 악곡 계열별로 노래·해금·거문고선율의 악구를 나누고, 골격음을 추출한 후 선율의 진행을 분석하였으며, 선율진행 및 장식음을 유형화하여 여창가곡의 구조 및 구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창가곡 15곡의 악구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본가곡 중 우조 악곡은 107개, 계면조 악곡은 129개, 소가곡은 농·낙·편계열의 악곡이 해당하는데, 평롱은 27개, 우락은 29개, 계락은 26개, 편수대엽은 30개의 악구로 나누었다. 반우반계에 해당하는 반엽은 29개, 환계락은 27개의 악구로 나누었다. 둘째, 선율진행 유형은 우조의 경우 107개 악구 중 45개의 악구가 종지음이 동일한 진행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선율의 상·하행진행에 관계없이 汰(太)음과 林(?)음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가곡 계면조의 선율은 129개 악구 중 46개의 악구에서 모든 골격음이 동일한 진행으로 나타났으며, 潢(黃)음??(仲)음?林(?)음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소가곡은 악곡마다 선율진행 유형이 상이하게 나타나며 시작음과 종지음이 동일한 경우는 우조 낙계열 악곡인 우락, 종지음이 동일한 진행은 계면조 낙계열 악곡인 계락과 반우반계의 반엽과 환계락, 시작음과 종지음이 상이한 진행은 계면조 농계열 악곡인 평롱과 편계열의 편수대엽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한 소가곡의 6개 악곡은 본가곡 계면조와 같이 潢(黃)음??(仲)음?林(?)음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골격음 진행은 동일선율의 유형, 상이선율의 유형, 기타선율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동일선율의 유형은 ①골격음 후속형 ②골격음 선행형 ③장식음 추가형 ④장식음 축약형 ⑤장식음 상이형 ⑥옥타브 변주형의 6가지로 세분화하였고, 76개의 악구에서 나타났다. 상이선율의 유형은 ①골격음 축약형 ②골격음 추가형 ③골격음 상이형 ④거문고 주법형 ⑤골격음 역행형의 5가지로 세분화하였고, 146개 악구에서 나타났다. 기타선율의 유형은 ①거문고 상이형 ②해금 상이형 ③노래 상이형의 3가지로 세분화하였고, 182개의 악구에서 나타났다. 넷째, 장식음선율의 유형은 본가곡의 우조 악곡에서 13개, 계면조 악곡에서 14개가 나타났으며, 소가곡의 우조 악곡에서는 14개, 계면조 악곡에서는 12개가 출현하였다. 장식음 선율의 유형은 우조와 계면조에서 골격음 진행이 동일하다 할지라도 장식음이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악조에 따른 음계 구성음이 다르며, 선율의 역할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섯째, 가곡에서 노래는 유려한 선율진행으로 인하여 장식음과 변주형태가 다양하고, 해금은 골격음 중심의 간결한 장식음 진행을 보였다. 거문고는 주법에 의한 장식음으로 노래와 해금이 음을 지속할 때 박을 짚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금은 노래와 거문고선율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전통음악에서 해금은 관악기가 숨을 쉬는 곳이나 현악기의 소리가 사라지는 곳에서 선율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특징을 여창가곡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고에서는 여창가곡 15곡을 대상으로 노래ㆍ해금ㆍ거문고선율을 비교 분석하여, 선율의 구성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유형화하였다. 전곡을 404개의 악구로 나누어 골격음을 산출하고 선율 진행을 살핀 결과, 본가곡 우조는 汰(太)음과 淋(林)음 중심으로, 계면조와 소가곡은 潢(黃)음??(仲)음?淋(林)음 중심으로 진행함을 알 수 있었다. 선율 유형은 동일선율의 유형 6개, 상이선율의 유형 5개, 기타선율의 유형 3개, 장식음음선율의 유형 53개로 총 67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본고는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노래·해금·거문고의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선율의 유형과 여창가곡의 구성 원리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그러나 연구 범위를 여창가곡의 노래ㆍ해금ㆍ거문고선율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여창가곡에서 노래와 반주악기와의 유기성 등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여창가곡에서의 노래와 관악기 선율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여창가곡 노래ㆍ해금ㆍ거문고선율의 비교 분석 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lodic Configurations of Voice, Haegeum and Geomungo in Female Gakok-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강은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Eun-il-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음악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