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 0

상업가로 이용자들의 가로활성화 인식 요인 도출

Title
상업가로 이용자들의 가로활성화 인식 요인 도출
Other Titles
The Street Vitalization Perception Factors of Commercial Street Users : Focused on Sinchon, Itaewon, Garosu-gil, and Hongdae in Seoul, Korea
Author
이새나리
Advisor(s)
김흥순
Issue Date
201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상업가로 활성화를 위한 제도 수립과 정책적 수행이 이루어지면서 상업가로 공간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업가로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상업가로활성화에 대한 인식 요인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신촌, 이태원, 가로수길, 홍대를 대상으로, 지역별 활성화 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고, 집단(성별, 거주지, 연령대 등)간 가로활성화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지역별, 집단별 활성화 인식정도를 확인하였다. 가로활성화의 인식 요인 도출을 위해 지역적 인식과 일반적인 가로활성화 인식의 요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가로다양성, 가로의 선호도, 가로 내 상점의 변화, 쾌적한 가로환경, 편리한 접근성, 가로 내 상점의 경쟁력, 개성있는 가로를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상업가로 이용자들의 가로활성화 인식에 대한 요인회귀분석 결과, 첫째, 일반적 인식 분석으로 가로다양성과 가로의 선호도가 가로활성화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촌은 가로 내 상점 경쟁력과 가로의 선호도가 가로활성화에 유의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태원, 가로수길은 일반적 인식과 같은 가로다양성, 가로선호도가 유의한 요인이었으며, 홍대는 가로다양성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상업가로 방문객들은 일반적으로 가로가 다양할수록, 가로에 많은 사람들이 방문할수록 가로가 활성화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언론이나 사람들의 일반적인 의견과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지역별 가로활성화 인식요인은 실제 가로에서 지역적 특성으로 일반적 인식과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지만 일반적 인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지역에 의한 대상 가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유의한 요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업가로의 이용자인 방문객을 대상으로 가로활성화의 일반적 인식 요인과 지역적 특성 및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가로의 다양성과 가로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가로활성화를 위한 지역적 전략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483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1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