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 0

한국 초기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itle
한국 초기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Korean Early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uthor
강유연
Alternative Author(s)
Kang, Yu Yeon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초기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이 우울과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사회정서역량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우울과 공격성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사회정서역량과 사회적 지지가 초기 청소년들의 심리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고, 우울과 공격성으로 인하여 부적응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과 우울 및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3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286명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역량, 사회적지지, 우울, 공격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와 AMO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매개모형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서역량, 사회적 지지, 우울, 공격성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정서역량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회정서역량과 우울 및 공격성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지와 우울 및 공격성도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사회정서역량, 사회적 지지, 우울, 공격성을 함께 살펴본 측정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정서역량, 사회적 지지, 우울, 공격성의 경로모형에서 사회정서역량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지지를 거쳐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유의미한 경로계수가 나타나 사회적 지지의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정서역량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하며, 이것이 우울과 공격성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사회정서역량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정서역량 향상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사회정서역량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쳐 우울과 공격성에 이르는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정서역량이 사회적 지지라는 환경적 요인을 통하여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셋째, 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우울과 공격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기 청소년에게 사회적 지지를 활용하여 그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emotional competence affects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whether social support serves as significant mediators for Korean early adolescents. The present study surveyed 28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AMOS 20.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ssess the hypothesiz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atent variable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includi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found. Second,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ggression was proved to be valid. Third, the direct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play crucial roles to decrease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early adolescents. Also,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 roles as a mediator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emotional competence affects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whether social support serves as significant mediators for Korean early adolescents. The present study surveyed 28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and AMOS 20.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ssess the hypothesiz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atent variable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including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found. Second, the structural model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ggression was proved to be valid. Third, the direct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play crucial roles to decrease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early adolescents. Also,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 roles as a mediator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32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778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