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0

서울시 다문화 수용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 요인 분석

Title
서울시 다문화 수용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 영향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Seoul, Korea
Author
이수기
Keywords
다문화 수용성; 외국인; 사회통합; 사회자본; 근린환경;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eigner; Social Integration; Social Capital; Neighborhood Environment
Issue Date
2019-06
Publisher
한국도시설계학회
Citation
도시설계, v. 20, NO 3, Page. 95-114
Abstract
본 연구는 ‘2013 서울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내 행정동별 다문화 인식의 공간적 분포와이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 인식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근린 수준 설명력이 가구 수준 설명력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다문화 수용 인식에 있어 개인 및 가구 특성뿐만 아니라, 거주지역의 근린환경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다문화 수용 인식에 있어 경합하는 두 이론인 접촉이론과 집단 갈등이론 중 단편적으로는 집단 갈등이론이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접촉이론이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이론을규명하는데 있어 두 집단 간의 단편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접촉의 기간 또한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셋째, 양질의 인지적 근린환경은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내국인의 다문화 수용을 제고하기 위해 근린의 지속적인 관리와 치안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마지막으로, 사회적 혼합과 관련있는 주택유형 혼합도와 건조환경의 개방성이나 폐쇄성을 의미하는 근린환경 특성변수가 다문화 수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린단위에서 다양한 주거유형을 혼합하고 폐쇄적인 단지계획을 지양하는 것이 다문화 수용 인식에 긍정적인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2013 Seoul surve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has show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neighborhood-level was higher than the household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household as well as the neighborhood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analyz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sues. Second, among the two competing theori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uch as ‘group conflict theory’ and ‘intergroup contact theory’, this study supports the group conflict theory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However,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tergroup contact theory gives a better explana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both temporary contact and long-term contact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examining the two theories. Third, the high quality of the perceived enviro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local peop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management and the public order in a neighborhood are important in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mix of housing type and the structure of built environment at the neighborhood level affected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finding means that housing mix and opened form of neighborhood built environment can make positive contributions to the percei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4646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1639
ISSN
1598-065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