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8 826

근린 체육활동시설이 운동시간과 주관적 건강 수준에미치는 영향 분석 -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2013~2015) 자료를 중심으로 -

Title
근린 체육활동시설이 운동시간과 주관적 건강 수준에미치는 영향 분석 -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2013~2015) 자료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The Impacts of Neighborhood Sport Activity Facility on Exercise Time and Subjective Health Level - Focused on the National Sport Participation Survey (2013-2015) in Seoul, Korea -
Author
이수기
Keywords
근린환경; 체육활동시설; 운동시간; 주관적 건강; Neighborhood Environment; Sports Activity Facility; Exercise Time; Subjective Health
Issue Date
2018-11
Publisher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Citation
국토계획, v. 53, no. 6, page. 19-38
Abstract
우리나라 생활체육 참여율은 2010년 기준 54.7%로 OECD 상위국가의 평균 참여율이73.9%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이다(조욱연, 2012). 참여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문화체육관광부(2017)에 따르면 2016년 생활체육 참여율이59.5%로 2010년 OECD 평균에도 못 미치고 있는상황이다. 또한, 정부는 ‘국민생활체육진흥 종합계획(안)(2013)’, ‘국민 생활체육시설 확충 중장기 계획(2014)’을 비롯하여 생활체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다양한 정책들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에 근거가 될만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구체적으로 기존 연구들은 체육활동이 아닌 신체활동에만 집중하고 있거나, 체육활동에 관한 일부연구는 한정된 시설을 중심으로 이용여부, 이용횟수만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전반적인 체육활동에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기존 연구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정리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 물리적 환경과 운동시간 그리고 주관적 건강 간의 관계를 통합 분석할 필요가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하는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2013~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설문조사 응답자가 거주하는 서울시 190개행정동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개인및 가구 특성, 물리적 환경 특성 중 운동이 일어날 만한 다양한 시설을 중심으로 거주민의 운동시간, 궁극적으로는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대해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neighborhood sports activity facilities on the exercise time and subjective health level using the National Sport Participation Survey data(2013-2015) in Seoul, Korea. We conducted path analysis including exercise time, subjective health level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survey data, we extracte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including subjective health and exercise time. In addition, we calculate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f neighborhood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most of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income and job showed expected relationships with exercise time or subjective health level. Second, the perceived level regarding neighborhood sports facilities such as public sports facilities had a strong positive association with exercise time and subjective health level. Third, the area of public sports facility, neighborhood park and the number of schoo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xercise time and subjective health level. Lastly, land use mix and the number of intersections showed a positive effects on exercise time. To sum 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public sports facility, neighborhood park and perceived environment on neighborhood sports facility are critical factors of residents’ exercise time and subjective health level.
URI
http://kpaj.or.kr/_common/do.php?a=full&bidx=1337&aidx=1736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0471
ISSN
1226-7147; 2383-9171
DOI
10.17208/jkpa.2018.11.53.6.1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근린 체육활동시설이 운동시간과 주관적 건강 수준에미치는 영향 분석 -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2013~2015) 자료를 중심으로 -.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