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5 2122

VR(Virtual Reality) 게임의 놀이적 특성 분석- 하위징아와 카이저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

Title
VR(Virtual Reality) 게임의 놀이적 특성 분석- 하위징아와 카이저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Playful Characteristic of Virtual Reality(VR) Games - Focusing on Huizinga and Caillois's Play Theory
Author
한동섭
Keywords
VR 게임; 놀이; VR 게임의 특성; 놀이 이론; VR Game; Play; Characteristics of VR Games; Play Theory
Issue Date
2018-08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 18, no. 8, page. 148-156
Abstract
본 연구는 VR 게임의 담론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의 입장에서 요한 하위징아와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을 바탕으로 기존 디지털 게임의 놀이적 특성을 유형화하였고, 해당 유형을 바탕으로 VR 게임의 놀이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VR 게임은 디지털 게임과 놀이적 특성을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R 게임에서는 HMD 착용에 의한 실제 세계와의 완벽한 단절과 새로운 입/출력 장치를 통해 자유로운 신체적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결국 놀이 환경의 변화로 인한 여러 감각적 자극을 통해 실재감, 몰입, 정서적 즐거움, 만족도의 증가 등 놀이자 경험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차후 다양하게 형성될 VR 콘텐츠의 특성을 연구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lay aspect of the existing digital games and VR games as part of a basic research for facilitating discussion on VR games. As a method for this research, the play aspect of digital games was classified based on the play theory by Johan Huizinga and Roger Caillois, followed by examination on the play characteristics of VR games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lassification. As a result, VR games share a significant portion of play characteristics with digital games. Nevertheless, in VR games the player is allowed unimpeded physical activity while having the HMD on and complete disconnection from the real world via new input/output devices. In the end, the transformation of play environment results in various sensory stimulation, and in turn influences the player's experiences in areas such as presence, immersion, emotional enjoyment and 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VR contents which is certain to develop in a wide range of directions in the future.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828138444347.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9620
ISSN
1598-4877; 2508-6723
DOI
10.5392/JKCA.2018.18.08.14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VR(Virtual Reality) 게임의 놀이적 특성 분석- 하위징아와 카이저의 놀이 이론을 중심으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