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0

수도권 인적자본 분포의 변화 추이 분석

Title
수도권 인적자본 분포의 변화 추이 분석
Other Titles
Trend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in the Seoul Capital Area
Author
하준경
Keywords
수도권; 인적자본; 공간적 분포; 주거지 분리; 통근시간; Seoul Capital Area; Human Capital; Spatial Distribution; Residential Segregation; Commuting Time
Issue Date
2019-08
Publisher
한국금융연구원
Citation
한국경제의 분석, v. 25, No. 2, Page. 157-207
Abstract
본 연구는 수도권 내 각 시군구의 인적자본 수준을 추정하여 인적자본의 공간적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본 후, 인적자본과 일자리의 공간적 결합 효율성을 통근시간 변수를 통해 알아본다. 분석 결과 수도권 시군구의 인적자본 수준은 전반적으로 수렴성, 즉 평준화 경향을 보였으나 석사ㆍ박사 등 대학원 졸업자만을 놓고 볼 때에는 시군구 간 격차 확대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즉, 분석대상 기간 (2005-2015년) 초에 석사ㆍ박사 비중이 높았던 지역은 이후 석사ㆍ박사 비중 증가 속도도 더 높아 고학력자들의 모여살기 현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인적자본의 공간적 분포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적자본과 통근시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의 경우 평균 학력이 높은 지역의 거주자일수록 통근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으나 서울시의 경우에는 고학력자가 적게 분포한 지역의 통근시간이 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청년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일수록 거주자의 통근시간이 길었다. 고학력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대다수 시군구 거주자의 통근시간이 늘어나고 있고, 장거리 통근자 비중도 커지고 있어 수도권의 인적자본과 일자리의 공간적 결합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stimates the human capital level for each sub-area in the Greater Seoul Capital Area (SCA), and analyzes the trends in spatial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The possibility of a spatial mismatch between jobs and human capital is also discussed using the estimates of commuting time for residents of each sub-area in SCA.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human capital level in each sub-area of SCA has been converging to each other. However, the share of master’s or doctoral degree holders in population has been diverging among the sub-areas. The cities or counties with high population shares of masters or doctors in the initial year (2005) showed faster increase of such shares in the following years (2005- 2015), implying a kind of residential segregation of graduate degree holders.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and commuting time shows that in Gyeounggi-do (outer Seoul) the residents of high human capital areas tend to spend more time in commuting, while in inner Seoul the residents of high human capital areas tend to have less commuting time. Areas with younger population show longer commuting time. It may be that the spatial mismatch between jobs and human capital in the SCA is becoming more serious, since the commuting time has been increasing for most sub-areas including the high human capital areas.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9809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7498
ISSN
1225-9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경상대학) > ECONOMICS(경제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