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9 1482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함충범-
dc.date.accessioned2019-12-04T07:32:54Z-
dc.date.available2019-12-04T07:32:54Z-
dc.date.issued2018-02-
dc.identifier.citation사회과학연구, v. 26, no. 1, page. 118-150en_US
dc.identifier.issn1598-0596-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31871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735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20년대 주요 ‘도시교향곡 영화’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적 표상이 영상 텍스트 속에서 어떠한 사회·문화적 환경 하에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1920년대미국과 서유럽, 동유럽 각국 및 각지의 도시교향곡 영화에는 기계-기술적 요소의 삽입을 통한 테크놀로지 사회의 유토피아적 표상이 적지 않게 함유되어 있다. 당시 도시교향곡 영화는 도시화의 진전이라는 시대적 조류와 기술 낙관주의적인 철학적 인식을 배경에 두고 있었다. 이에, 텍스트 내에서는 다양한 영화 기법을 통해기계-기술의 이미지가 화면을 수놓고 있으며 도시 공간의 기계화 현상이 드러나 있기도 하다. 하지만, 동시기도시교향곡 영화가 모두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적 상(像)을 지배적으로 투영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기계의 일상화 경향을 비판적으로 그리거나 탈기술주의적 광경을 묘사하는 경우에서조차 유토피아 세계의 복원에 대한 인류의 내재적(혹은 잠재적) 욕망을 발견하는 일이 가능하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6S1A5B8914175).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en_US
dc.subject테크놀로지en_US
dc.subject유토피아en_US
dc.subject도시교향곡 영화en_US
dc.subject1920년대en_US
dc.subject표상en_US
dc.title1920년대 ‘도시교향곡 영화’에 나타난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적 표상en_US
dc.title.alternativeRepresentations of Technological Utopia in the 1920’s ‘City Symphony Film’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26-
dc.identifier.doi10.17787/jsgiss.2018.26.1.118-
dc.relation.page118-150-
dc.relation.journal사회과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함충범-
dc.relation.code2018018957-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RESEARCH INSTITUTE[S]-
dc.sector.departmentCONTEMPORARY CINEMA RESEARCH INSTITUTE-
dc.identifier.pidvokkoo-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