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3 1262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주호-
dc.date.accessioned2019-12-02T20:02:45Z-
dc.date.available2019-12-02T20:02:45Z-
dc.date.issued2017-12-
dc.identifier.citation교육재정경제연구, v. 26, no. 4, page. 93-117en_US
dc.identifier.issn1226-2781-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806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6479-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심각한 청년실업난 속에서 졸업을 미루는 대학생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취업준비를 위해 선택한 졸업유예가 취업 여부 및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하는 데 있다. 분석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약 12,000여 명의 4년제 대학 졸업자이고,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졸업유예 선택에서 나타나는 내생성(endogeneity) 문제를 제거한 뒤 최종 분석에 활용한 표본의 수는 2,888명이다. 특히, 본 연구는 임금이 취업한 사람들에게만 관측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Heckman(1979)의 2단계 표본 선택 모형(two-step sample selection model)으로 졸업유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졸업유예를 선택한 학생과 선택하지 않은 학생 간 인구학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졸업유예에 대한 자기선택 편의를 제거한 후 졸업유예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졸업유예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취업할 확률도 높고, 취업할 경우 임금도 더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노동시장에 적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대학이 보다 현장 적합성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졸업 요건 등을 제도적으로 보완하여 졸업유예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필요성이 있음을 반증하고 있다.A growing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are delaying graduation amid a tough job market. As an exploratory endeavor,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ion delay on labor market performance, getting employment and the degree of wage. Data were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4. This study particularly tried to control sample selection bias b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echniques with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delay of university students' graduation has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ge, even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an effective school to work transition.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5B8A02061908).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en_US
dc.subject졸업유예en_US
dc.subject취업en_US
dc.subject임금en_US
dc.subject경향점수매칭en_US
dc.subjectHeckman 모형en_US
dc.subjectgraduation delayen_US
dc.subjectemploymenten_US
dc.subjectwageen_US
dc.subjectPSMen_US
dc.subjectHeckman modelen_US
dc.title대학 졸업유예가 취업 및 임금에 미친 효과en_US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Undergraduate Student Graduation Delay on Labor Market Performanc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26-
dc.relation.page93-117-
dc.relation.journal교육재정경제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전이-
dc.contributor.googleauthor유지현-
dc.contributor.googleauthor강영민-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주호-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Jeon-Yi-
dc.contributor.googleauthorYu, Ji-Hyeon-
dc.contributor.googleauthorKang, Young-min-
dc.contributor.googleauthorPark, Joo-Ho-
dc.relation.code2017018327-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DUCATION[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EDUCATION-
dc.identifier.pidjhpark1028-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