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7 1174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태수-
dc.date.accessioned2019-11-30T08:58:23Z-
dc.date.available2019-11-30T08:58:23Z-
dc.date.issued2017-09-
dc.identifier.citation영화연구, no. 73, page. 45-80en_US
dc.identifier.issn1598-9682-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26818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15481-
dc.description.abstract오랜 세월 동안 극장이라는 요람을 벗어나지 못했던 영화는 비디오를 통해 마침내 극장이라는 공적공간을 벗어나 가정이라는 사적공간에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가정으로 들어갔던 영화는 미디어의 발전과 그에 따른 환경변화와함께 모바일 같은 매체를 통해 다시 도시의 공적공간으로 되돌아가 그 공간을 사사화하고 있다. 이처럼 영화의 발전이 끊임없는 공간적 재편을 통해 이루어지고있고, 따라서 영화가 단순히 연대기적으로가 아닌 공간적인 맥락에서 이해되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렇게 영화의 발전을 공간과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보면‘한물간’ 매체로 여겨지는 비디오는 오히려 본격적으로 영화관람의 공간적 재편을 주도한 최초의 매체로서 그 시작점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따라서 본고는 구체적으로 비디오가 사적인 공간으로 가내화되면서 도시의 공적 공간들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비디오산업과 문화운동 공간은 비디오문화의 질적 향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서로 다른 공간인 극장과 사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관람문화는 어떤 차이를 지니는지 살펴본다. 이에 있어서 본고는, 영화연구의 경우 영화를 둘러싼 맥락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전체사를 지향해야 한다는 클링어(Barbara Klinger)의 주장처럼, 극장과 가정 사이에 놓인 도시 공간, 산업적공간과 질적 향상을 위한 비디오 문화운동의 공간 그리고 사적공간인 가정에서의 관람 공간 등 서로 이질적인 공간들을 다양한 층위에서 살피면서 비디오관람을 둘러싼 맥락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전체사를 지향한다. 이를 통해‘비디오를 통한 관람 공간의 재편’의 전체사는 결국 복잡하고 다양화된 미디어환경 속에서 빠르게 변화하며 진행 중인 현재의 영화관람을 이해하기 위한 과거의 재사유의 하나가 될 것을 목표로 한다.Films that have not escape the cradle of theaters for long periods were finally deviated from the public spaces and entered into private spaces such as home after its onset. However, home-oriented films now return to urban public spaces via mediums such as mobile phon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its environmental change. This implies that films are developed by the continuous spatial reformation. Therefore, films are needed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pace, not simply in terms of chronology. The development of films can be understood that video, which is typically considered as “old-fashioned” media, is located at a starting point as the media that encouraged the spatial reformation of watching movie in terms of the relation with space.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how urban public spaces were changed as video was domesticated into private spaces, how video industry reformed film-producing spaces, and a difference in two distinct inspection culture between theaters and private spaces. As Barbara Klinger argued that the film study should be oriented for the total history by examining context surrounding films comprehensively, this paper aims for the total history by investigating distinct spaces such as industry spaces including urban spaces in-between theaters and homes, video market, and film production, film-viewing spaces at home as private spaces from multiple layers and by surveying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video watching comprehensively. Thus, the total history of “reformation of viewing spaces through video” aims for one of historical reconsiderations to understand the current movie watching rapidly chaging in complicated and diversified media environment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5S1A5A2A03049648).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영화학회en_US
dc.subject사적⋅공적공간en_US
dc.subject도시공간en_US
dc.subject비디오산업en_US
dc.subject가내화en_US
dc.subject사사화en_US
dc.subject영화관람en_US
dc.subject공간적 재편en_US
dc.subjectPrivate spaceen_US
dc.subjectPublic spaceen_US
dc.subjectUrban spaceen_US
dc.subjectFilm industryen_US
dc.subjectVideo industryen_US
dc.subjectDomesticationen_US
dc.subjectAudience classen_US
dc.subjectSpatial reformationen_US
dc.subjectMovie maniaen_US
dc.title비디오를 통한 관람 공간의 재편(1987-1997)en_US
dc.title.alternativeThe Reformation of watching spaces through video 1987-1997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73-
dc.identifier.doi10.17947/kfa..73.201709.002-
dc.relation.page45-80-
dc.relation.journal영화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금동-
dc.contributor.googleauthor정태수-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Keum Dong-
dc.contributor.googleauthorJeong, Tae Soo-
dc.relation.code2017019528-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PERFORMING ARTS AND SPORT[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dc.identifier.pidzerkalo-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