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 | Vicious desire: The insect woman of Kim Kiyoung and Imamura Shōhei | 김청강 |
2020-12 | 북한영화의 국제 교류 관계 연구(1945-1972):소련⋅동유럽을 중심으로 | 정태수 |
2020-07 | 정책대상집단으로서의 예술기획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예술기획사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김준희 |
2020-06 | 연기 교수법 모형 개발 연구 - 미하일 체홉의 '분위기'(atmosphere) 원리를 중심으로 II - | 조한준 |
2020-02 | 한국 디지털 판타지 영화 연구—계보, 표본, 그리고 사회적 의미 | 김청강 |
2019-12 | 1960년대 유고슬라비아 노비 필름(1961-1971) | 정태수 |
2019-11 | 체코 사회를 비추는 거울, 얀 스베락 영화의 특징 연구 | 정태수 |
2019-11 | 청년문화, 영상시대와 새로운 성 해석, 낭만적 저항의 1970년대 한국영화(1972~1979) | 정태수 |
2019-11 | 해방기(1945~1950) 북한 영화담론의 전개 과정 연구 | 정태수 |
2019-08 | 포스트-유고슬라비아 시대 민족 분쟁과 경제 침체의 상흔, 다니스 타노비치 감독론 | 정태수 |
2018-12 | 해금할 수 없는 것을 해금하기—월북영화인 해금 30년의 여정 | 한상언 |
2018-12 | 현대 서부극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의 양가성 연구:˂로스트 인 더스트˃(2016)와 ˂로건˃(2017)을 중심으로 | 정태수 |
2018-11 | 북한 초기 칼라영화의 형성과정과 특징(1950-1957) | 한상언 |
2018-10 | Monstrous Science: The Great Monster Yonggari (1967) and Cold War Science in 1960s South Korea | 김청강 |
2018-10 | 좌절하는 ‘남자다움’ : 섹스영화, 임포텐스, 그리고 ‘성’ 치료담론 (1967-1974) | 김청강 |
2018-10 | ˂신세계˃(2013)와 ˂브이아이피˃(2017)에 드러난여성 재현 방식의 변화 연구 | 정태수 |
2018-09 | ‘현재’와 조우하는 한국 현대사, 그 새로운 방향들: 2016~2017년도 한국현대사 연구 동향 | 김청강 |
2018-09 | 일제 강점기에 대한 새로운 비판 방식 - 이준익 감독의 ˂동주˃, ˂박열˃을 중심으로 | 정태수 |
2018-06 | 1930년대 소련영화에 투영된 유토피아적 세계와 테크놀로지 표상 | 정태수 |
2018-02 | 해빙기, 폴란드 영화학파(Polska Szkoła Filmowa, 1955-1965) 연구 | 정태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