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병관-
dc.date.accessioned2019-05-22T07:47:30Z-
dc.date.available2019-05-22T07:47:30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citation한국광고홍보학보, v. 20, No. 3, Page. 35-77en_US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51117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56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메타 분석에 의한 신뢰도 일반화(reliability general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유명 인모델속성의측정척도에대한신뢰도를체계적으로분석하는데목적이있었다. 이를위해국 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6편을 대상으로 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등 유명인 모델 속성 척도의 평균신뢰도계수를계산하였다. 또한표본크기, 평균, 표준편차, 여성비율, 척도유형, 측정도 구원천등신뢰도에영향을미치는변인들의조절효과도살펴보았다. 연구결과유명인모델속 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 평균은 매력성이 .823, 신뢰성 .850, 전문성 .830으로 비교적 안정된 신 뢰도를보이고있었다. 국내유명인모델속성측정도구는측정값의평균, 표준편차, 척도유형, 여성표본비율, 20대이하표본비율변인과관련이있는것을확인할수있었다. 본연구는가변 계수 모델을 적용하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동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측정 도 구의 신뢰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광고홍보학회en_US
dc.subject신뢰도 일반화en_US
dc.subject모델 속성en_US
dc.subject메타 분석en_US
dc.subject신뢰도 계수en_US
dc.subject가변 계수 모델en_US
dc.subjectreliability generalizationen_US
dc.subjectmodel attributesen_US
dc.subjectmeta-analysisen_US
dc.subjectreliability coefficienten_US
dc.subjectvarying coefficient modelen_US
dc.title유명인 모델의 공신력 척도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신뢰도 일반화 메타 분석의 적용en_US
dc.title.alternativeHow Reliable is the Reliability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s? : Applying the Reliability Generalization Meta-Analysi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20-
dc.identifier.doi10.16914/kjapr.2018.20.3.35-
dc.relation.page35-77-
dc.relation.journal한국광고홍보학보-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병관-
dc.contributor.googleauthor손영곤-
dc.contributor.googleauthor강경희-
dc.relation.code201801889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COMMUNICATIO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dc.identifier.pidgogree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