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0

「조완벽전」에 나타난 타자 인식 고찰

Title
「조완벽전」에 나타난 타자 인식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Other Perception of 「Cho Wan-Beak Jeon」
Author
김경회
Keywords
자아; 타자; 관계; 신의; 주체화; Self; Other; Relationship; Falth; Subjectivation
Issue Date
2015-08
Publisher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Citation
다문화와 평화, v. 9, No. 2, Page. 233-257
Abstract
본고는 이수광의 「조완벽전」을 분석하고 안남에 대한 그의 인식을 고찰한 후 그의 타자 인식에 나타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수광은 「조완벽전」을 통해 조완벽의 전쟁 체험보다 그가 경험한 안남에 대해 소개하였고, 조선 사회가 안남이라는 타자를 접촉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회복하면서 내부적으로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치유하며 결속을 다질 것을 기대하였다. 또한 조선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전제로 조선의 주체화를 추구하고자 한 이수광은, 안남의 문화를 소개하면서 조선이 세계와 소통하며 공존해야 하는 사회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지만, 조완벽처럼 안남을 구체적 근거 없이 차별화하였다. 이러한 안남에 대한 이수광의 인식은 조선의 문화를 준거로 그리고 동질화라는 문화 개념을 기초로 형성되었기에 태생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그러한 시선으로 국제 정세를 바라보았기에 조선이 동아시아 전쟁이 야기한 국가적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실리적 방법을 도모할 때 난항을 거듭할 수밖에 없었음을 추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아와 타자가 서로를 믿고 존중하며 소통을 통해 공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때 양자의 주체화가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자아와 타자의 관계적 사유가 현대 한국 사회의 통합을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rough 「Cho Wan-beak Jeon」Lee Soo-Gwang did not describe the experiences of war of Cho Wan-beak but minutely introduce Annam that Cho Wan-beak experienced and the anecdote that Lee Soo-Gwang was a public figure. And Lee Soo-Gwang expected that Chosun society could recovery the identity, heal the suffering of war and strengthen the solidarity, contacting and understanding Annam. Seeking subjectivation of Chosun on the assumption self-esteem of tradition and culture of Chosun, Lee Soo-Gwang also objectively introduced culture of Annam and asserted that Chosun should aim for the society could communicate and coexist with the world. However like Cho Wan-beak Lee Soo-Gwang differentiated Annam without concrete reasons. Being formed on a basis of culture of Chosun, Lee Soo-Gwang’ perception of Annam fundamentally contained discriminative perspective. And being formed on a basis of homogeneity, it originally had limit. Therefore if self and other believe and respect the other party, and seek and fulfill plans for symbiosis, both self and other will be able to realize subjectivation, and also prepare the critical clue for social unification through the relational cogitation of self and other.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5137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1386
ISSN
2092-576X
Appears in Collections:
OFFICE OF ACADEMIC AFFAIRS[E](교무처)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