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9 0

여성 치매 노인을 위한 성격 성향 맞춤화 상호작용 기반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

Title
여성 치매 노인을 위한 성격 성향 맞춤화 상호작용 기반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Activity Program Based on Interaction for Women Older Adults with Dementia: Premorbid Personality Focused
Author
양정은
Alternative Author(s)
Yang, Jeong Eun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장기 요양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은 치매의 진행과 함께 급격한 인지 기능 저하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정신행동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 사용은 정맥 혈전 색전증, 뇌졸중, 고관절 골절과 같은 전신 질환의 영향 요인으로 치매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해 구체적인 전략 및 간호 중재적 접근이 필요하다. 치매 노인들은 의미 있는 활동의 부족으로 인해서 신체 기능적 문제, 정신행동 증상, 사회적 고립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eed-Driven Dementia-Compromised Behavior (NDB) 이론을 근거로 발병 전 성격을 반영하여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활동 프로그램은 사전 보호자 면담을 시행한 후 치매 노인의 발병 전 성격과 선호도를 파악하여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였고, 소그룹 활동으로 그룹 내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적 환경을 풍부하게 하였을 뿐 아니라 정신행동 증상 개선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사 실험설계 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H 시와 N 시, P 시에 위치한 3개의 노인 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치매 노인이다. 또한,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검사에서 연령, 성별, 학력에 따른 정상 규준에 근거해 인지 기능 저하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여성 노인, 시설에 입소한 지 3개월 이상, 최근 2주 동안 Cohen-Mansfield Agitation Inventory (CMAI)로 정신행동 증상을 측정하였을 때 1가지 이상인 노인 및 치매 노인의 법정 대리인(가족 보호자)의 연구 참여 허락을 받은 대상자를 선정기준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실험군을 대상으로 4~6명의 소그룹을 회당 40분씩, 8주 동안 주 2회로 총 16회를 진행 하였으며, 실험군 21명, 대조군 23명으로 총 44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 인지 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 (SPSS Ind., Chicago, USA)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x2-test, fisher’s exac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실험군 86.19(±8.05)세, 대조군 83.61(±5.21)세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 간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8주간의 프로그램 진행 후 정신행동 증상의 하부영역 중 신체적 공격 행동 (p=.050)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p=.045)이 유의하게 개선되어 가설이 일부 지지되었다. 반면, 정신행동 증상의 하부영역 중 신체적 비 공격 행동(p=.731), 언어적 격앙행동 (p=.630), 숨기기/모으기 (p=.102)와 인지 기능 (p=.672)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성격 성향 맞춤화 상호작용 기반 활동 중재 프로그램이 외향성과 개방성이 높은 발병 전 성격의 여성 치매 노인 정신행동 증상의 개선에 부분적 효과가 있음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요양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발병 전 성격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반영함으로써, 획일적인 접근법이 아닌 개별화하여 적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치매 노인의 정신행동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용한 비약물적 간호 중재 접근으로 향후에 지속적인 중재 적용을 통한 치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001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1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