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0

질편모충으로 감염시킨 전립선기질세포와 비만세포 tryptase의 crosstalk에 의한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

Title
질편모충으로 감염시킨 전립선기질세포와 비만세포 tryptase의 crosstalk에 의한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
Other Titles
Proliferation of prostatic stromal cells infected with Trichomonas vaginalis via crosstalk with mast cell tryptase
Author
노창석
Alternative Author(s)
Chang-Suk Noh
Advisor(s)
류재숙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질편모충 (Trichomonas vaginalis)은 성매개 감염병을 일으키는 매우 흔한 기생충으로 전립선염, 양성전립선비대증 및 전립선암 환자의 소변이나 조직에서 발견된다. 양성전립선비대증의 발생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만성염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질편모충으로 전립선상피세포를 자극시켰을 때 비만세포와의 crosstalk을 통해 전립선기질세포가 증식 하는 것을 밝힌 바 있다. Tryptase는 비만세포가 활성화되었을 때 분비되는 효소로, 이는 protease-activated receptor 2 (PAR2)를 활성화시켜 섬유아세포 증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립선비대에서 비만세포 tryptase의 역할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적다. 이 연구에서는 질편모충으로 자극한 전립선기질세포와 비만세포 tryptase의 crosstalk이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전립선기질세포에 질편모충을 감염시켜 얻은 conditioned medium을 비만세포에 반응시키고, 생산된 tryptase가 tryptase-PAR2 경로를 통하여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을 일으키는지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살아있는 질편모충으로 반응시킨 전립선기질세포(WPMY-1)는 CXCL8과 CCL2 생산을 증가시켰다. 이런 chemokine이 포함되어있는 전립선기질세포 상청액(Trichomonad-conditioned medium, TCM)은 비만세포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2. 비만세포를 TCM으로 반응시켰을 때 β-hexosaminidase, CXCL8 및 tryptase의 생산이 증가하였다. 3. 비만세포에 TCM을 반응시킨 상청액(mast cell-TCM, M-TCM)을 전립선기질세포에 반응시킨 후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을 확인하였을 때 M-TCM 처리군의 증식률이 대조군에 유의하게 비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4. M-TCM에 의해 증식이 일어난 전립선기질세포에서 tryptase-PAR2 pathway의 신호전달물질의 발현을 알아보고자 전립선기질세포에 M-TCM을 반응시켰을때 PAR2, p-ERK, COX-2, 15d-PGJ 및 PPARγ의 발현 또는 생산을 확인하였다. 또한 M-TCM과 함께 각 신호물질의 억제제를 기질세포에 첨가하였을 때 기질세포의 증식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tryptase-PAR2 pathway가 증식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5. M-TCM에 의한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에 tryptase-PAR2 pathway의 신호전달 순서를 확인하기 위해서 M-TCM에 tryptase나 PAR2 억제제를 기질세포에 넣었을 때 p-ERK의 발현이 감소되어 ERK는 PAR2의 하위 신호물질임을 확인하였다. ERK억제제 처리는 COX-2를 감소시켰는데 COX-2 억제제는 p-ERK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ERK는 COX-2보다 상위 신호분자임을 확인하였다. ERK나 COX-2 억제제를 M-TCM에 추가하였을 때 15d-PGJ 생산과 PPARγ 발현이 억제되어서 15d-PGJ와 PPARγ가 PAR2, ERK, COX-2보다 하위의 신호전달 분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질편모충으로 감염된 전립선기질세포는 chemokine을 생산하여 비만세포를 이동시키고,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분비된 tryptase는 tryptase-PAR2 pathway를 통하여 전립선기질세포의 증식을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9959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53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