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7 0

다문화와 축제, 그 경계를 넘어 : 콜롬비아 ʹ바랑키야 카니발(Carnaval de Barranquilla)ʹ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다문화와 축제, 그 경계를 넘어 : 콜롬비아 ʹ바랑키야 카니발(Carnaval de Barranquilla)ʹ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Multi-culture and Festival, Beyond their Borders - The Case of the Barranquilla Carnival in Colombia
Author
김남조
Keywords
바랑키야 카니발; 이주; 정체성; 문화다양성; 경계인; 다문화와 축제; 코뮤니타스와 리미노이드; Carnival of Barranquilla; Migration; Identity; Cultural Diversity; Marginal Man; Multi-Culture and Festival; Communitas and Liminoid
Issue Date
2016-08
Publisher
한국문화관광연구원
Citation
문화정책논총, v. 30, NO. 2, Page. 118-143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직면하게 되면서 개최되고 있는 다문화축제, 그 실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바랑키야 카니발을 토대로 ‘코뮤니타스’와 ‘리미노이드’의 개념을 활용하여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경계와 전이 현상을 규명했으며, 이를 토대로 국내 다문화 사회의 공존과 상생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바랑키야는 오랜 기간 스페인의 식민지배로 인해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발달했으며, 새로운 실향민의 정착지로 변모해간 곳이다. 이로 하여금 문화적 이질성, 사회적 차별과 편견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바랑키야 카니발을 통해 주·객이 모두 하나 되는 일체감의 정서적 경험과 단결된 조화를 이루는 ‘코뮤니타스’와 ‘리미노이드’에 이르렀다. 바랑키야 카니발은 일상에서 벗어나 성별, 계급과 지위, 지역, 경제적 소득, 이념과 의식, 질서, 구속 등의 모든 경계와 체제를 해체시킴으로써 ‘반구조’적인 상황으로 전개되었다. 이에 사회적 약자인 이주자, 소수자, 경계인들에게 자유, 평등, 동료애, 동질성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자 사회와 소통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었으며, 이들에게 잠시나마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귀환의 시간이자 희망의 시간이었다. 결국, 바랑키야 카니발 사례는 이질적인 문화 간의 만남이 경계와 경계가 만나 ‘제3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며, 창조의 동력이 이주자, 즉 경계인임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examined the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festivals in Korea as Korea is facing a multi-cultural society. In doing so, this study concentrated on border and transition phenomena by using the concepts of ʹcommunitasʹ and ʹliminoidʹ. This study further examined possible improvements for coexistence and mutual vivifi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ies in Korea. Barranquilla is an area with mixed cultures and has transformed into a new settlement for displaced people. The settlers were suffering from an identity crisis due to cultural heterogeneity,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However, they all reached ʹcommunitasʹ and ʹliminoidʹ which created a harmony through emotional experience of national identity by participating in the carnival. During this carnival, people could enjoy dynamics apart from their daily lives, which turned into an ʹanti-structuralʹ situation by thoroughly de-constructing their borders and social systems, such as gender, class and status, area, income, ideology and consciousness, and public order. Therefore, it was the only time for the people to feel free, equal, friendly, and not disadvantaged by immigrants heterogeneity. They could also be recognized and interact with society accordingly, making it a time of return and hope to get back their hometown for a while. It showed that meetings between different cultures could be a driving force to create a third culture owing to the interface between cultures, particularly among marginaliz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70015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5068
ISSN
1738-125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