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대호-
dc.date.accessioned2018-04-26T07:34:43Z-
dc.date.available2018-04-26T07:34:43Z-
dc.date.issued2014-06-
dc.identifier.citation신경정신의학, 2014, vol.53, no.3, pp. 171-177 (7 pages)en_US
dc.identifier.issn2289-0963-
dc.identifier.issn1015-4817-
dc.identifier.uri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ART00197129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0838-
dc.description.abstract국문 요지배경 및 목적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후 발생하는 대표적인 정신과 질환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생명의 위협을 동반하는 사건에 노출 된 후 발생하는 정신과 질환이며, 특히 아동 및 청소년에서 그 유병률이 높고 만성화하는 경향이 있어서 조기의 효과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하지만, 재해나 재난으로 인해 많은 수의 외상 경험자들이 발생하였을 경우 PTSD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약물 치료나 정신치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의 심리 안정화 기법들을 기반으로 한 정동 조절 집단치료(Affect regulation group therapy)를 사용하여 치료 한 급성 외상을 경험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정동 조절 집단치료의 치료 효과와 그 치료 반응을 결정하는 임상적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서울의 모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발생한 추락 사망사건을 직접 목격하거나 간접 직면한(소식을 들은) 464명의 아동들에게 정동 조절 집단 치료를 1회 30분간 시행하였다. 정동 조절 집단 치료는 심리교육, 안전 지대, 나비포옹, 봉쇄연습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 주관적 고통 척도 점수 (Subject Unit of Distress Scale; SUDS)가 4점 이상인 아동들, 213명을 대상으로 정동 조절 집단치료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아동들을 치료 반응군(n=100)과 비반응군(n=110)으로 나누어 인구학적 변인, 임상 변인 및 치료 전 심리척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SUDS 점수가 50%이상 감소한 경우를 치료 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개정 외상 사건에 대한 아동 반응척도(Korean-Child Reaction to Traumatic Events Scale-Revised; K-CRTES-R)와 주관적 고통 척도를 사용하였다.결과 정동 조절 집단치료는 급성 외상을 경험한 아동들에게 유의한 치료 효과가 있었다(t=16.3, p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신경정신의학회en_US
dc.subjectTraumaen_US
dc.subjectAcute stress disorderen_US
dc.subjectGroup therapyen_US
dc.subjectAffect regulationen_US
dc.subjectEMDRen_US
dc.subjectChildrenen_US
dc.title최근 외상을 경험한 초등학교 아동들에 대한 정동 조절 집단치료의 치료반응en_US
dc.title.alternativeTreatment response of affect regulation group therapy for recently traumatized school childre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53-
dc.identifier.doi10.4306/jknpa.2014.53.3.171-
dc.relation.page171-177-
dc.relation.journal신경정신의학-
dc.contributor.googleauthor정정엽-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대호-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석현-
dc.contributor.googleauthor배활립-
dc.contributor.googleauthor이건석-
dc.contributor.googleauthor고복자-
dc.relation.code2014001326-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MEDICINE[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MEDICINE-
dc.identifier.piddkim928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