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천병식-
dc.date.accessioned2018-04-19T10:00:09Z-
dc.date.available2018-04-19T10:00:09Z-
dc.date.issued2013-01-
dc.identifier.citation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2013-01, 14, p.23-32en_US
dc.identifier.issn1598-0820-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205832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9677-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서해안 지역에는 대규모의 항만공사 및 간척사업 등 대규모의 투자와 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에 있어 연약지반 처리라는 문제점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리고 연약지반 보강 시 지반보강을 위한 공법은 사용목적과 지반조건 및 시공여건, 공사비 등을 고려하여 주입공법을 선정해야 하며, 고압분사주입공법 중 SRC공법은 강제 압송 충전시키는 방법으로서 지반의 특성과 무관하게 균질한 강도를 가지는 개량체 조성이 가능하며, Slime 발생량이 적어 환경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는 이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화성시 전곡리 주변 조석 차가 비교적 큰 서해안 지역의 해성점토층 지반을 대상으로 하여 SRC공법을 시공하여 지반보강 및 현장적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SRC공법 현장적용 결과, 시추작업에 의해 측정된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재령 28일 강도 값이 14,700~31,800kN/m2으로 5,333kN/m2 이상의 설계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따라서 서해안 해성점토층 지반에 SRC공법을 시공하여 지반보강에 관한 현장적용성의 평가 결과 우수한 강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곧 내구성 또한 뛰어난 것으로 입증된다고 사료된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지반환경공학회en_US
dc.subjectGround Reinforcementen_US
dc.subjectMarine Clayen_US
dc.subjectSRC Methoden_US
dc.subjectApplication on the Siteen_US
dc.title해성점토층에서 SRC 지반보강에 관한 현장적용성 평가en_US
dc.title.alternativeEstimation of Application on the Site of SRC Method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in Marine Clay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4-
dc.relation.page23-32-
dc.relation.journal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승준-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석영-
dc.contributor.googleauthor천병식-
dc.relation.code2012216370-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bschu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