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민하-
dc.date.accessioned2018-04-14T12:22:51Z-
dc.date.available2018-04-14T12:22:51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citation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 P.107-107en_US
dc.identifier.uri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NPAP1118546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식생의 변화는 수문기상인자인 증발산과 토양수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의 변화가 수문기상인자인 토양수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식생인자와 수문기상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위성 이미지 데이터를 연구에 적용하였으며, 식생인자는 MODIS 13 Vegetation Indices Product에서 추출한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를 이용하였다. 식생인자와 토양수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농업기상정보시스템(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에서 측정한 군위, 논산, 옥천, 예산 지역의 토양수분 관측값 및 Aqua 위성에 탑재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E(AMSR-E)를 이용하여 측정한 토양수분 관측값을 MODIS-NDVI와 비교 분석하였다. 식생인자와 수문기상인자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양상을 알아내고자 하였고 상관성을 분석하여 식생인자가 수문인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였다. 그 결과 RDA 토양수분 관측값은 MODIS-NDVI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는 RDA와 AMSR-E의 토양수분의 관측 깊이에 따른 차이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또한 MODIS-NDVI, AMSR-E, RDA가 가지고 있는 각기 다른 공간 해상도(1km, 25km, point scale)가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추후 이를 보완한다면 보다 식생변화가 토양수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방재학회en_US
dc.subjectSoil moistureen_US
dc.subjectAMSR-Een_US
dc.subjectMODISen_US
dc.subjectNDVIen_US
dc.title식생변화가 토양수분에 미치는 영향 분석en_US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Soil Moisture Variability Due to the Vegetation Index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page359-364-
dc.contributor.googleauthor최민하-
dc.contributor.googleauthor허유미-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현우-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태웅-
dc.contributor.googleauthorChoi, Minha-
dc.contributor.googleauthorHur, Yoomi-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Hyunwoo-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Tae-Woo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mchoi-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