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8 0

Oleanolic acid 및 그 유도체가 MC3T3-E1 조골세포주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Title
Oleanolic acid 및 그 유도체가 MC3T3-E1 조골세포주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its Derivatives o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
Author
박용순
Keywords
Oleanolic Acid; Oleanolic Acid Derivatives; Osteoblast Specific Ggene;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MC3T3-E1 Cell
Issue Date
2011-12
Publisher
한국약용작물학회
Citation
한국약용작물학회지, 2011, 19(6), p. 491-500
Abstract
조골세포 활성의 약화로 골형성이 감소되거나 파골세포의 활성도가 강화되어 골 흡수가 증가되는 경우 골다공증이 발생하며, 골다골증 치료제로 생약제에 대한 효능 및 효과를 근거로 하여 골조직 재생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접근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Triterpenoid 화합물로서 oleanolic acid와 유사한 고리구조와, 약리적 효과를 가진 ursolic acid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골 형성을 유도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oleanolic acid (OA) 및 그 유도체인 oleanolic acid acetate (OAA), oleanolic acetate methyl ester (OAM)가 MC3T3-E1 조골세포의 활성과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조골세포의 증식률을 측정하였고, OA와 그 유도체의 분화유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Alkaline phosphatase (ALP), Alizarin 염색과 ALP효소활성을 측정하였으며, RT-PCR을 통하여 조골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과, western blot을 통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의 인산화 여부를 확인하였다. 세포 증식률은 0.1-10 μM 의 OA, OAA, OAM에서 growth media (GM)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dimethyl sulfoxide (DMSO) 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5 μM 의 OA, OAA, OAM에서 배양 14일째에 ALP 효소발현과 석회화 형성, osteocalcin (OCN)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 ALP 효소활성은 5 μM의 OA, OAA, OAM에서 DMSO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OA와 그 유도체가 다른 type I collagen, osteopontin, Runx2 유전자 발현과, p38, ERK, JNK 의 인산화에 미치는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OA 및 그 유도체는 ALP 효소발현과 석회화 형성, OCN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여 조골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쳤으나, OA와 그 유도체간에 분화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URI
http://db.koreascholar.com/article?code=255452http://hdl.handle.net/20.500.11754/65664
ISSN
1225-9306; 2288-018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